[양지로 나온 정신건강] ②미디어·언론도 정신건강 인식 개선에 동참해야

② 정신건강 인식 개선, 모두가 나서야 할 때
-중앙지원단, 보도 문화 개선위해 기자협회 가이드라인 논의
-드라마·영화도 중요 역할…편견 없애기 위해 동참 절실
해외 주요 정신 건강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정신건강동향 2019년 6월호) 제공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기 위해선 정부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언론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정신 건강에 대한 편견을 유발하는 언론 모니터링을 운영하고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에서 운영 중인 정신 건강에 대한 보도·미디어 가이드라인을 국내에도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는 정신 건강 정책 대전환을 위한 ‘정신 건강 정책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정신 질환에 대한 편견 해소, 정책 공감대 형성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특히 정신 질환에 대한 편견·차별을 조장하는 언론 보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정신 건강과 관련해 다학제적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신건강 증진 사업 등에 대한 자문·지원기구인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중앙지원단)을 운영 중이다. 중앙지원단은 정신 질환 편견·낙인 해소를 위해 언론과 협력하며 부정적 인식의 보도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한국기자협회와의 협업을 통해 테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기자들이 준수해야 할 공식적인 ‘정신 건강 보도 권고 기준’을 제정하고자 논의 중이다.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의 정신 건강 관련 언론 모니터링 및 대응 단계.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제공

 복지부 관계자는 “중앙지원단은 그간 정신 질환 당사자와 가족으로 구성된 정신 건강 모니터링단을 운영했는데, 주로 부정적 인식을 유발할 수 있는 언론보도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수집을 통해 언론·미디어 동향을 분석했다”면서 “정신 건강 언론 모니터링을 운영하고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우리나라에도 정신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 질환과 관련한 언론매체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언론 및 미디어 가이드라인을 통해 정신 건강 문제를 정확하고 균형 있게 보도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일례로 캐나다, 아일랜드, 영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선 국립기관·비영리단체(NGO)·정신 건강 관련 전문기관·기자연합회 등에서 가이드라인을 발간하고, 정부 지원을 받거나 국가 프로그램으로써 개발·활용되고 있다. 

 

 중앙지원단이 6개국 8개 단체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 11종에서 주요하게 다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책임 있는 보도를 위한 정신 건강 보도 고려 사항 ▲사용 언어 주의사항 ▲정신 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자와의 인터뷰 방식 ▲대중이 갖고 있는 정신 질환에 관한 잘못된 관념과 진실 등을 담고 있었다. 이 중 책임 있는 언론보도를 위한 고려 사항은 ▲보도 내용과 정신 질환의 관련성 ▲편견을 강화시키는 기사 제목 주의하기 ▲영상과 이미지 사용 주의 ▲낙인찍는 단어 사용에 주의하기 ▲정확하고 균형 있는 정보 출처 ▲정신 건강 지원 및 도움 정보 제공 등이다.

 

 중앙지원단 관계자는 “언론은 정신 건강·정신 질환과 관련한 오해와 편견을 해소하고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특히 드라마, 영화 등도 가이드라인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 이는 허구를 바탕으로 잘못된 관념이 내포돼 더욱 과장되고 극단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편견과 차별 인식을 가져오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