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음악 분야의 대표자들이 모여 정부의 세액공제 도입을 요구했다.
지난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게임·음악분야 제작비 세액공제 도입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 자리에 참석한 조승래·김승수 국회의원을 비롯한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장, 황성익 한국모바일게임협회장, 김창환 한국음악콘텐츠협회장, 권영택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이사 등이 해당 분야의 제작비 세액공제 정책 도입을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현재 한국의 게임 산업은 매출 23조원, 수출 84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시장 4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음악산업 또한 12.6조원, 수출 12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 세계에 한류 바람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문화콘텐츠 산업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K-컬처 300조 시대를 강조하며 문화콘텐츠를 국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참석자들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업 지원 조세 정책은 제조업 중심 설계로 문화콘텐츠 기업이 혜택을 받는데 한계가 있다”고 주장하며 "영화, 드라마 등 영상콘텐츠에 적용되는 제작비 세액공제가 국가 대외이미지 제고 및 관광 등 파급효과를 고려한 정책임을 감안하면 게임과 음악 산업이야 말로 반드시 해당 정책이 적용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장률과 수출증가율 둔화 등 점차 위기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게임과 음악분야 산업이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계속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이들 단체는 소수 기업에게만 집중되는 투자와 도전의 기회가 혁신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 콘텐츠를 만드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문화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정책은 업계의 활력을 불어넣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게임 및 음악 분야 제작비 세액공제 도입으로 얻게 될 부가가치가 게임분야 1조 4554억원, 음악분야 2401억원에 달한다. 1만8000여명의 취업 효과도 기대된다.
4개 협회는 “게임과 음악분야가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대한민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명실상부한 문화강국으로 한 단계 더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정부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정책 도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