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일게이트가 신작 RPG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를 통해 차별화된 장르로 글로벌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다.
28일 서울 홍대 WDG 스튜디오에서는 스마일게이트의 카오스 제로 나이트메어 미디어 설명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슈퍼크리에이티브의 김형석 PD와 스마일게이트의 김주형 사업실장이 참석했다.
카제나는 덱 빌딩(Deck-Building·카드 수집) 로그라이크식 전투를 추구하는 호러 SF 콘셉트의 게임이다. 카오스라는 혼돈의 존재에 잠식당한 인류를 배경으로 이뤄지며, 전투원과 파트너로 불리는 캐릭터를 수집하고 각 캐릭터가 가진 카드 덱을 조합해 다양한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캐릭터와 카드의 조합에 따라 매번 새로운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다.
김형석 PD는 “캐릭터당 25종의 고유 카드 능력, 100종의 공용 카드 및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능력은 시즌마다 변화한다”고 설명했다.
붕괴 시스템을 통해 각 캐릭터의 정신적 이면을 구현한 점도 재미 요소다. 캐릭터는 전투 중 스트레스 한계를 넘으면 트라우마 상태에 빠지고, 유저는 극복과 성장을 시키며 캐릭터 육성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일반적인 서브컬처가 밝은 분위기의 스토리를 구사한다면 카제나는 다크한 판타지를 지향한다. 김 PD는 “최근 5년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가장 인기있고 사랑받은 작품들은 모두 어두운 주제를 갖고 있다. 게임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없었고, 저희가 최초로 도전하는 셈”이라고 자부했다.
이어 “스튜디오 내 10명의 역량있는 시나리오 작가가 근무하고 있다. 출시 1년 전부터 시나리오를 완성해야 하는 어려운 미션이 있어서 고생을 많이 하고 있다”며 “더 좋은 결과와 재미있는 시나리오를 선보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개발진에겐 캐릭터 수집과 덱빌딩 로그라이크의 밸런싱이 아젠다였다.
김 PD는 “캐릭터 획득이 유저 허들로 남게 된다면 게임을 장기적으로 서비스하기 어려울 거라 생각한다. 과금의 목적이 꼭 P2W(Pay to Win)를 위한 캐릭터 획득이 아니라 좀 더 다양한 플레이를 하고 싶을 때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남겨두려고 한다”며 “본 캐릭터만으로도 모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설계 중이며, 가장 높은 등급의 캐릭터도 무과금으로 얻을 수 있도록 많은 보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제나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유저 팬덤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올해 안으로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텍스트는 한·영·일·중국어, 음성은 일본어와 한국어 2가지로 마련된다.
김 PD는 “게임 밖으로 카제나의 세계관을 넓히고 싶다. 게임으로 다루지 못한 소재를 커뮤니티나 SNS로 공유하고, 캐릭터의 트라우마는 어디서 나왔는지, 세계관은 어떤 부분이 있는지 등의 정보를 지속 제공해 유저가 게임과 캐릭터에 애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또한 유저들과 함께 IP를 만들어가려고 한다. 그래서 2차 창작물의 적극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제나는 9월말 열리는 도쿄게임쇼(TGS)에서 글로벌 팬을 만난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