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GA, ‘직장 내 괴롭힘’ 일삼은 고위 임원 뒤늦은 해임… 노조 “문제 핵심 가리는 사후약방문”

사진=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노동조합 제공

 

소속 직원에 대해 직장 내 괴롭힘을 일삼은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고위 임원이 결국 해임됐다. 하지만 본질적인 문제 해결은 여전히 물음표로 남으면서 협회의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KPGA가 지난 25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직장 내 가혹행위를 일삼은 고위임원 A씨에 대한 해임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지난해 말부터 협회 소속 직원 B씨를 향한 ▲상습적인 욕설과 막말 ▲공개적인 장소에서 신변을 위협하는 폭언 ▲가족을 거론한 인신공격 ▲각서 강요 및 연차 강제 ▲부당한 퇴사 압박 ▲성희롱적 발언 등 가혹행위를 이어온 혐의로 올해 1월 경찰 조사를 받았다. 약 3개월의 수사를 펼친 분당경찰서는 지난 5월 A씨를 ‘강요’ 및 ‘모욕’ 등의 죄목으로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에 송치했다.

 

그럼에도 KPGA는 A씨에 대해 직무 배제 조치만 취했을 뿐, 공식 징계를 미뤄왔다. 오히려 A씨가 직원들에게 요구한 시말서를 바탕으로 피해자 6명에 대한 최대 퇴사 조치 징계를 내리며 구설수에 오르내렸다.

 

사진=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노동조합 제공

 

KPGA 노조가 국회 문화체육위원회 손솔 진보당 의원과 함께 지난 15일 국회의사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식적으로 이를 문제 삼으면서 논란이 더욱 불거졌다. 결국 KPGA는 여론을 의식한 듯, 긴급 이사회를 통해 최종적으로 A씨에 대한 해임을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잡음은 이어진다. KPGA 노조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문제의 핵심은 보복성 징계와 조직적 은폐에 있다”며 정면 반박에 나섰다.

 

노조는 “A씨의 해임은 사건이 신고된 후 8개월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국민적 공분과 여론에 의해 뒤늦게 결정된 사후약방문일 뿐”이라며 “정작 사측이 공언한 조직 혁신안이나 주 52시간 근무제 위반 및 임금체불의 해결 방안은 이번 이사회에서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노조는 A씨의 해임을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행위라 꼬집으며 “이제는 사태의 본질이 가혹행위 자체에서 피해 직원들 대상의 보복성 징계로 옮겨갔다. 사측의 책임 회피와 무대응이 불러온 결과다. 피해 직원들 징계라는 2차 가해에 대해 사측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진보당 손솔 의원(왼쪽)이 최 후보자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국회방송 캡처

 

한편, 지난 29일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도 이번 ‘KPGA 사태’가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손솔 의원이 최 후보자에게 이 사태를 언급하며 “KPGA에 대한 감독 권한을 가진 주무관청으로서 법인 사무검사와 감독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질의하자 최 후보자는 “사건을 알고 있다. (취임 후) 챙겨보겠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문체부가 국내 프로경기단체에 대해 사무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KPGA는 문체부 허가 법인으로 연각 30억원에 이르는 예산 지원을 받고 있어 사무검사가 가능하다. 문제가 발견되면 감사 청구도 이뤄질 수 있다.

 

KPGA는 오는 4일 해고자 2명의 재심과 함께 보류해든 2명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허행운 기자 lucky77@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