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건설이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을 위해 조합원 분담금을 최소화하는 금융 전략을 제안했다고 18일 밝혔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보통 정비사업에서 시공사들이 입주시 분담금 100% 납부를 제안하고 있지만, 작은 글씨로 “수요자 금융조달조건”이라는 단서조항을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조합원 개개인이 입주시 분담금을 100% 내는 것은 맞지만, 해당기간 조합은 분담금 대출을 해 각종 사업비와 공사대금 상환을 충당한다. 그 과정에서 매달 이자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자는 입주시 분담금을 100% 납부할 때 함께 청구되는 구조다. 대우건설은 수요자가 금융조달하지 않아 이자가 없는, 진정한 의미의 입주시 100% 분담금 납부를 제안했다.
또 대우건설은 공사비 지급방식 및 사업비 상환순서를 조합에 가장 유리한 방식인 ‘분양수입금 내 기성불’로 제안했다. 아울러 공사비는 다른 사업비 및 이자비용을 먼저 상환한 뒤, 최후순위로 상환하는 파격적인 조건도 내놓았다.
조합은 분양수입 발생시 사업비를 최우선으로 상환한 뒤, 조합 통장에 잔여금액이 있을 경우에만 기성률 한도 내에서 공사비를 지급하게 된다. 이는 조합 입장에서 금융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공사대금 납부 연체에 대한 걱정도 없다. 따라서 분양대금이 들어오면 공사비 먼저 지급해야하는 분양불 제안에 비해 탁월한 조건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대우건설은 공사비 상승 요인도 최소화했다. 대우건설은 현 상황에서 시공사가 가장 크게 양보할 수 있는 조건인 소비자물가지수와 건설공사비지수 중 상승률이 낮은 값을 적용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경쟁사는 두 지수의 평균값 적용을 제안했는데, 최근 5년간 두 지수 중 낮은 값과 평균값의 차이로 비추어보면 약 2.6%포인트의 차이가 발생한다”며 “이를 전체공사비와 공사기간에 대입해보면 이 조건 하나로 수백억원의 금융비용 차이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우건설은 물가인상 유예 기간을 18개월까지 제공해 고물가 시대의 조합원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이와 같이, 대우건설은 조합원들의 가장 큰 고민일 수 있는 분담금 관련, 이와 직결된 가장 큰 비용들을 절감할 수 있는 맞춤형 금융전략을 제시하며 오랜시간 준비된 대우건설의 진심을 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