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갈 곳조차 없다”… 유일한 권역호스피스 사라진 울산

The blur photo of patient lies on a bed in a hospital ward while he is examined by a doctor in protective clothing and a mask.

말기 암환자의 마지막 삶을 돌보던 울산대병원 호스피스 병동이 갑작스럽게 폐쇄됐다. 이에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는 최근 입장문을 내고 “호스피스 병동은 수익 논리로 폐쇄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라, 생의 마지막을 존엄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돕는 필수 공공의료”라고 호소했다.

 

울산대병원은 울산 지역 유일 권역별 호스피스센터를 운영해왔다. 폐쇄 이후 혈액암 등 말기암 환자들이 고난도 완화의료를 받기 위해 타지로 이동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학회는 “울산대병원이 호스피스병동을 갑작스럽게 폐쇄하면서 지역의 말기암 환자들이 의료공백의 한 가운데에 놓이게 됐다”고 지적했다.

 

울산대병원은 2013년 지역 최초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시작한 뒤 2019년부터 보건복지부가 지정하는 권역별 호스피스센터에 선정됐다. 이후 울산·경남 권역 호스피스 의료 분야를 책임져왔다.

 

그러나 병원은 지난달 보건복지부에 호스피스 등록기관 폐업 신고를 했다. 이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중증 환자 병상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울산 지역 호스피스 병상은 총 62개에서 52개로 줄어든다. 요양병원 하나, 독립형 호스피스기관 하나가 전부다.

 

학회는 “호스피스는 단순히 치료를 중단하는 곳이 아니라, 긴 투병에 지친 환자들이 고통을 덜고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도록 돕는 필수 영역”이라며 “울산대병원의 이번 결정은 우리 사회가 죽음과 말기 환자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를 드러낸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는 정부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예견된 일이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학회는 “보건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을 통해 항암·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는 말기 암환자를 중증환자에서 제외했다”며 “이는 곧 호스피스 병동이 구조조정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말기환자조차 중증에서 배제된 현실은 우리 공공의료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우려했다.

 

실제 말기 암환자 중에는 통증 조절, 출혈, 구토, 경련 등의 증상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다. 학회는 “이러한 중증환자에게는 상급종합병원의 전문 인력과 장비, 경험을 기반으로 한 세심한 완화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특히 치료 중단에서 완화의료로 전환되는 시점엔 상급병원 내 호스피스 병동이 꼭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학회는 정부와 의료기관을 향해 세 가지 사항을 강력히 촉구했다.

 

첫째, 정부는 울산대병원 사례처럼 수익성을 이유로 호스피스 병동이 폐쇄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학회는 “호스피스는 선택이 아닌 권리이며, 국가는 그 권리를 보장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둘째, 말기환자 통합돌봄의 거점으로서 상급종합병원이 기능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과 지원사업의 중증환자 기준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셋째, 지역과 소득, 병원에 상관없이 누구나 인간다운 생의 마무리를 누릴 수 있도록 전국적인 호스피스 인프라 확대와 평등한 접근성을 보장할 것을 요청했다.

 

학회는 “죽음 앞에서도 외면당하는 환자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로 국가의 품격”이라며 “호스피스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모든 국민이 누려야 할 마지막 권리”라고 강조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