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도 추경 예산안에 기본급 인상 예산 18억원이 문화체육관광부 안으로 반영됐다.
1일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이는 반복된 건의에도 번번이 무산됐던 생활체육지도자 처우 개선 요구가 국가 예산에 공식 반영된 사례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추경 심사를 통해 확정됐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통과만을 남겨놓고 있다.
진 의원은 당초 명절상여금, 복지포인트, 식대 등 복지 수당을 포함한 총 52억원 규모의 예산 증액을 요구했다. 이 가운데 기본급 인상분 18억원이 우선 수용됐다.
해당 예산은 국비 18억원에 지방비 매칭(50%)이 더해져 총 36억원 규모로 편성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약 2800여명의 생활체육지도자에게 기본급 약 12% 인상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기본급 인상은 명절상여금, 복지포인트 등 여러 수당과도 연동되는 구조여서 이번 조치는 전체적인 처우 개선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진 의원은 “예산 전액이 반영되진 않았지만, 생활체육지도자 기본급 인상 예산이 정부 예산안에 포함됐다는 것 자체가 체육계에겐 의미 있는 전환점”이라며 “장미란 2차관도 2026년 예산에 추가 반영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남은 수당 항목과 호봉 체계 마련까지, 멈추지 않고 끝까지 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 확보는 단순한 건의나 서면 보고서로 이뤄진 결과가 아니다. 진 의원은 지난 3개월간 전국 17개 시도의 지방체육회를 직접 찾아다니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해 정책 방향을 설계했다. 지난달 18일에는 국회에서 ‘생활체육지도자 처우 개선 정책 세미나’를 개최해 여야 의원들과 전문가, 지도자 당사자들과 함께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예산 반영은 “체육계는 항상 예산의 뒷순위였다”는 체육인들의 오랜 체념을 깨뜨리는 현실적 변화의 시작이라는 평가다. 진 의원은 “예산이라는 건 결국 국회의 의지의 문제다.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생활체육이 더 이상 주변부로 밀려나지 않도록, 정치가 먼저 움직여야 한다”라며 “이제는 진짜 변화가 시작됐다는 것을 보여주겠다”라고 말했다.
진 의원은 향후에도 생활체육지도자 수당 체계 확립, 호봉제 등 중장기적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 활동에도 전념할 계획이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