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블루, 트리플 크라운 출격…삼관마까지 단 한 걸음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
KRA컵·코리안더비 모두 우승
9년 만에 韓 삼관마 탄생 기대
마이드림데이 등 경쟁마 주목

9년 만에 삼관마가 탄생할까. ‘오아시스블루’가 대업에 도전한다.

최우수 3세마를 선발하는 시리즈 ‘트리플 크라운’의 마지막 관문인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G2)’가 오는 15일 한국마사회 렛츠런파크 서울에서 제8경주로 펼쳐진다. 경주 조건은 국산 3세, 거리는 2000m, 순위상금은 7억원이다.

트리플 크라운이라는 용어는 경마에서 처음으로 유래했다. 1935년 미국에서 한 해에 ‘켄터키 더비-벨몬트 스테이크스-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3개 대회를 모두 우승한 말이 탄생하자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칭하면서 유래됐다. 현재 경마를 시행하는 여러 나라가 각자의 트리플크라운 시리즈 경주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3세마를 대상으로 하며, 한 달 간격으로 1600m, 1800m, 2000m 거리의 경주로 구성된다.

올해 트리플크라운은 오아시스블루가 독차지 하고 있다. 1관문인 ‘KRA컵 마일’과 2관문인 ‘코리안더비’에서 모두 정상에 올랐다. 이번 대회마저 석권하면 삼관마에 오른다. 한국 경마 역사상 삼관마는 단 두 마리뿐이었다. 삼관경주 체계가 도입된 2007년 ‘제이에스홀드’와 2016년 ‘파워블레이드’다. 만약 오아시스블루가 이번 경주에서 우승한다면 9년 주기 삼관마 탄생이라는 이색 기록도 세운다.

◆[부]오아시스블루(9전 6/0/1, 레이팅 70, 한국, 수, 3세, 밤색, 부마: 언캡처드, 모마: 새나, 마주: 이종훈, 조교사: 백광열)

오아시스블루

강력한 우승후보다. 지난 2월 트리플 크라운의 전초전 격인 경남신문배(L)에서 당당히 우승하며 눈도장을 찍었다. 이어 시리즈 1관문 KRA컵 마일과 2관문 코리아더비에서도 여유로운 낙승을 거뒀다. 특히 코리안더비에서는 외곽인 13번 게이트에서 출발했음에도 차분하게 페이스를 조절해 정상에 오르는 괴력을 발휘했다. 부마인 ‘언캡처드’는 오아시스블루의 이런 활약 덕분에 데뷔 3년차 씨수말 순위에서 1위를 달성했다. 오아시스블루가 올해 마주 최초 300승을 달성한 이종훈 마주에게 삼관마의 영예까지 안겨줄지 시선이 쏠린다.

◆[부]마이드림데이(10전 1/4/1, 레이팅 56, 한국, 수, 3세, 갈색, 부마: 세이브더월드, 모마: 커밍순, 마주: 신우철, 조교사: 토마스)

마이드림데이

시리즈 제1관문에서는 준우승, 2관문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절치부심해 다시 한 번 우승에 도전한다. 전설적인 씨수말 ‘메니피’의 손자마이자 2020년 코리안더비 우승마 ‘세이브더월드’의 자마다. 직선주로에서 추입을 시도하는 전략을 주로 구사한다.

다만 코리안더비에서는 초반 후미에 자리 잡아 진로가 막혀 힘을 쓰지 못했다. 먼로 기수와 호흡을 맞춰왔으나, 이번 경주는 서승운 기수와 함께한다.

◆[서]이클립스더킹(9전 4/1/2, 레이팅 65, 한국, 수, 3세, 밤색, 부마: 섀클포드, 모마: 템파르니요, 마주: 조한수, 조교사: 서홍수)

이클립스더킹

빠른 스타트를 무기로 선행을 노린다. 지난 2, 3월 두 번의 4등급 경주에서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거두며 저력을 입증해 3등급으로 승급했다. 다만 막판 스퍼트가 약점이다. 지난 3월 HKJC트로피 경주에서 막판 ‘파이널케이’에게 역전당하며 2위를 기록했다. 코리안더비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3위에 그쳤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듯하다.

◆[부]영스카이워커(8전 2/3/1, 레이팅 44, 한국, 수, 3세, 갈색, 부마: 아임유어파더, 모마: 드라마틱걸, 마주: 이일형, 조교사: 김영관)

영스카이워커

아직 4등급이다. 코리안더비에서 16두 중 8위에 머물렀다. 이런 영스카이워커가 주목받는 이유는 바로 현 시점 최고의 역량을 보여주고 있는 김혜선 기수와 올타임 레전드 김영관 조교사 콤비가 함께한다는 점때문이다. 깜짝 성적을 낼지 관심이 모인다.



권영준 기자 young0708@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