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시행되며 가상자산 업계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가상자산 사업자 의무와 불공정거래 행위 규제를 담은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은 가상자산 시장이 제도권 내에 포함되었다는 의미이자 가상자산 업체들에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의 건전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묻는 일이기도 하다.
이 같은 변화의 바람에 잘 적응한다면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 전세계 코인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지만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쭉정이처럼 뽑혀 나갈 수 밖에 없다.
이 상황에서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송치형 회장은 압도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발휘하며 존재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업계 전체의 위기일 수 있는 상황이지만 업비트에게만큼은 기회로 작용하고 있는 듯 하다.
실제로 업비트는 코인게코 거래대금 기준, 유수의 글로벌 거래소들 사이에서도 꾸준히 10위권 이내에 드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 해 11월에는 전세계 중앙화 가상자산 거래소 가운데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며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또한 이러한 성과는 국내 코인 시장의 제도가 확립되기 전부터 자체적인 노력을 기울여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투자자 보호’ 정책을 일관되게 펼쳐온 두나무 송치형 회장의 식견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국내 코인 시장 넥스트 스텝은 ‘글로벌화’에 있다”며 “투자자 보호나 유저 친화적인 거래 환경 조성 등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좋은 가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두나무는 업비트, 증권플러스,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