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이 저린증상 팔꿈치 때문일까... “주관터널증후군 아시나요”

손이 저린 증상이 나타나면 흔히 목 디스크나 손목터널증후군을 포함한 신경 압박을 의심하기 쉽지만, 팔꿈치가 원인일 수도 있다.

 

팔꿈치 안쪽을 지나가는 척골신경이 압박되면서 발생하는 주관터널증후군은 손과 팔에 다양한 신경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 구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경험 많은 의료진, 특히 손과 팔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수부 전문의를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

 

신한솔 세종시 서울현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주관 터널은 팔꿈치 안쪽을 지나가는 좁은 통로로, 이곳을 지나는 척골신경이 반복적인 팔꿈치 사용이나 외부 압박에 의해 눌리면서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한다.

 

주된 원인으로는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구부리는 습관, 장시간 팔을 괴고 있는 자세, 외상으로 인한 신경 손상 등이 있다. 특히 책상에 팔꿈치를 올려놓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증상은 초기에는 새끼손가락과 약지에서 저린 느낌이 나타난다. 진행되면 손의 감각이 둔해지고 힘이 빠지는 현상이 동반된다. 심한 경우 손가락의 근육 위축이 발생하며, 물건을 잡거나 세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신 원장에 따르면 주관터널증후군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그는 "비교적 가벼운 경우 팔꿈치를 과도하게 구부리는 습관을 피하고, 스트레칭이나 보조기 착용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신경 압박이 심한 경우에는 신경 감압술을 포함한 다양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 수술 후에는 비교적 빠르게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voto

이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장시간 구부리는 자세를 피하고, 규칙적인 스트레칭을 통해 신경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이 많은 사람이라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마다 팔을 펴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신한솔 원장은 “팔꿈치 통증과 손 저림이 지속된다면 단순한 피로감으로 넘기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며 "초기에 치료하면 신경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손과 팔의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