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키17’ 주연진도 반한 ‘봉테일’ 봉준호 감독…“그만의 시각, 특별해”(종합)

오는 28일 개봉예정인 SF장르 영화 미키17은 복제 인간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로버트 패틴슨, 마크 러팔로 등 예상을 뛰어넘는 캐스팅으로 화제가 됐다. 봉준호 감독과 주연배우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 최두호 프로듀서(왼쪽부터)가 20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두홍 기자.

 ‘트와일라잇’의 치명적인 주인공 로버트 패틴슨, ‘헐크’ 마크 러팔로가 파격적인 변신에 나선다. ‘미키17’의 봉준호 감독은 누구도 시도하지 않은 특별한 캐스팅을 가능하게 했다.

 

 영화 미키17이 20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한국에 처음 방문한 나오미 애키, ‘어벤저스’ 이후 10년 만에 내한한 마크 러팔로와 ‘옥자’에 이어 또 한 번 협업한 스티븐 연이 참석해 ‘봉준호의 고국’ 한국 방문에 대한 설렘을 전했다.

 

 미키17은 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소모품(익스펜더블)을 소재로 죽으면 다시 프린트 되는 미키가 17번째 죽음의 위기를 겪던 중, 그가 죽은 줄 알고 미키18이 프린트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그간 복제 인간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았기에, 감독의 연출력이 작품의 관전 포인트다.

 

 봉준호 감독은 ‘휴먼 프린팅’이라는 소재에 주목했다. 주인공은 흔한 슈퍼히어로가 아니다. 착하지만 모자란, 평범하고 가벼운 청년이 출력되며 사건을 마주한다. “콘셉트 자체에 희·비극과 드라마가 있다”고 입을 뗀 봉 감독은 “인간은 존중받아야 하는 존재인데, 조합해서 안 되는 단어가 만나 이미 기존 작품과 달랐다. 확신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로버트 패틴슨은 극한직업의 노동자 미키로 분한다. 나오미 애키는 ‘휴먼 프린팅’된 모든 미키를 지켜주는 여자친구 나샤를, 스티븐 연은 미키의 유일한 친구이자 생존형 캐릭터 티모를 연기한다. 허세 넘치는 독재자 케네스 마셜 역엔 마크 러팔로가 캐스팅됐다.

 

 ‘평범한’ 로버트 패틴슨, ‘첫 악역’ 마크 러팔로 등 예상을 뛰어넘는 캐스팅으로 화제가 된 작품이다. 봉 감독은 “성격이 이상하다 보니 사람을 볼 때도 이상한 면만 보인다. 알려지지 않은 모습이 보이면 집착하게 된다”고 웃으며 “배우들이 예상 이상의 연기를 보여줘서 감사하다. 행운이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오는 28일 개봉예정인 SF장르 영화 미키17은 복제 인간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로버트 패틴슨, 마크 러팔로 등 예상을 뛰어넘는 캐스팅으로 화제가 됐다. 봉준호 감독이 20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두홍 기자.

 마크 러팔로의 첫 악역은 특별하다. “역사적으로 독재자는 대중을 휘어잡는 기묘한 매력과 애교가 있다. 봉 감독은 “이상하지만 위험한 매력을 잘 연기해줬다”고 평가하며 “나오미 애키는 총과 칼이 아니라 목소리로 독재자를 제압한다. 이런 배우를 알아봤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인간 냄새가 나는 SF영화를 만드는 게 목표였던 그에게 배바지를 입고 사채업자에게 쫓기는 연기조차 실감 나게 소화한 스티븐 연은 큰 힘이 됐다.

 

 ‘봉테일(봉준호+디테일)’과의 협업은 배우들에게도 신선한 경험이었다. 마크 러팔로는 “창의력을 발견해 표출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섬세하고 꼼꼼한 감독”이라고 말했다. 스토리보드를 활용한 한국식 작업 방식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캐릭터의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나오미 애키 역시 “기대하지 못한 방식으로 나를 자유롭게 해줬다”고 했고, 스티븐 연은 “봉 감독만의 시각은 아름답고 특별하다”고 칭찬했다.

오는 28일 개봉예정인 SF장르 영화 미키17은 복제 인간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로버트 패틴슨, 마크 러팔로 등 예상을 뛰어넘는 캐스팅으로 화제가 됐다. 주연배우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왼쪽부터)가 20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두홍 기자.

 해외 영화제 및 시사회 진행 후 독재자 마셜 역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연상된다는 반응이 생겨났다. 감독과 배우들도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마크 러팔로는 “마셜이 특정인을 연상시키지 않길 바란다”고 선을 그으며 “전형적인 정치인의 쩨쩨한 모습, 작은 그릇의 독재자를 오랫동안 봐오지 않았나. 결국 실패하는 그들의 모습이 의도적으로 다양하게 들어갔다고 생각한다.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고 싶었다”고 답했다.

 

 2년 전 촬영을 마쳤지만 소름 돋게도 현재 각국이 처한 상황들과 닮아 있다. 봉 감독은 확대 해석을 우려하며 “역사 속 다양한 정치적 악몽들, 독재자의 모습이 녹아 있어 각국의 상황, 역사를 투영시켜 봐주시는 것 같다. 배우가 이를 융합시켜 보편적인 모습으로 표현해줬다”고 말했다.

 

 관객에게 뚜렷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해외 유수의 영화제를 휩쓴 봉 감독의 신작이다. 영화를 만들며 사회 풍자 등의 메시지를 목표로 하지는 않았다. 미키17도 ‘프린트에 출력되는 내 몸을 보면 어떤 느낌일까’, ‘유일한 친구가 나를 괴롭힌다면 속마음이 어떨까’하는 궁금증을 담았다.

 

 그는 “힘든 상황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보며 버틸 수 있다는 위안과 위로를 나누고 싶었다. 영화는 그런 틈바구니에서 숨 쉬는 인간들의 감정을 나누고자 만든다. 미키가 힘든 상황 속에서 결국 부서지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것, 파괴되지 않았다는 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정가영 기자 jgy9322@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