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동반 승선한 문家네, 문정현-문유현 형제 “플러스 될 수 있도록”

사진=대한민국농구협회 제공

 새로운 태극마크 형제가 탄생했다. 문정현(KT)과 문유현(고려대) 형제가 2025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컵 본선 티켓을 노리는 남자농구대표팀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여느 형제들처럼 만나면 티격태격하는 둘이지만, 함께 태극마크를 달았다는 사실에 서로가 자랑스럽다. 둘은 입 모아 “이번 대회서 잘해 또 함께 국가대표가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형의 발자국을 따라 걷는다. 형제는 엘리트 시절부터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으며 농구 명문 고려대에 나란히 진학했다. 먼저 형 문정현이 태극마크를 달았다. 대학생 신분으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2023년 개최)에 나섰다. 동생 문유현은 2학년이었던 지난해 아시아컵 예선을 뛰며 처음으로 국가대표 무대를 밟았다.

 

 함께 국가대표에 뽑힌 건 처음이다. 문유현이 처음으로 나선 아시아컵 예선 당시, 문정현은 부상 중이라 함께하지 못했다. 문정현은 “이번 명단을 봤을 때 둘 이름이 다 있어서 정말 기뻤다”며 “동생이랑 통화로 ‘뽑아주신 분들께 실망시켜드리지 말고 더 좋은 모습 보여드려서 다음에 또 함께할 수 있도록 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사진=대한민국농구협회 제공

 오랜만에 함께 땀 흘렸다. 문정현과 문유현은 2023년 고려대서 각각 4학년, 1학년으로 함께 호흡을 맞췄다. 이후 문정현이 프로에 진출하면서 기회가 없었다. 이번 동반 승선으로 약 1년 6개월 만에 다시 한솥밥을 먹는다. 문유현은 “형을 다시 보게 됐다. 내가 생각한 것보다 농구를 잘하더라”라고 웃은 뒤 “이전까지 슛 대결하면 내가 많이 이겨 형은 부족하다고 생각했는데, 슛이 많이 좋아진 모습”이라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형 역시 동생의 변화를 눈치챘다. 문정현은 “오랜만에 함께 훈련했는데 많이 늘었더라. 대학생 때는 힘, 스피드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는데 좋아졌다. 형으로서 뿌듯하다”면서 “좀 더 자신 있게 하길 바란다. 근데 워낙 코트에 서면 눈에 불을 켜고 하는 편이라 걱정은 되지 않는다”고 미소 지었다.

사진=대한민국농구협회 제공

 형제가 함께하는 만큼 유쾌한 에피소드도 생겼다. 지난 16일 밤 문유현의 핸드폰이 울렸다. 발신자는 문정현. “형이 밤에 대뜸 전화해선 간식 남은 거 있냐고 물어보더라”며 운을 뗀 문유현은 “이후 미안했는지 ‘네 건 안 뺏어 먹을게’하면서 전화를 끊었다”고 설명했다.

 

 해명의 시간이다. 문정현은 “아 사실 그날 저녁을 좀 부실하게 먹어서 전화했었는데, 동생은 왜 그런 얘기를… 부끄럽다. 뺏어 먹진 않았다”며 유쾌하게 답했다. 이어 “사실 어렸을 때는 많이 뺏어 먹었다. 인정한다. 그래서 유현이 키가 덜 컸나”라고 웃으면서도 “지금 유현이 먹는 거 보면 나보다 많이 먹는 것 같다. 몸에 좋은 건 다 입에 넣는 스타일이라 걱정은 없다”고 말했다.

 

 문 형제를 포함한 대표팀은 지난 18일 태국으로 출국했다. 20일 태국, 23일 인도네시아를 상대한 뒤 귀국한다. 한국은 2승2패로 조 2위다. 태국을 꺾으면 조 2위를 확정해 본선 진출권을 얻는다. 객관적으로 한국이 우위다. 한국은 FIFA 랭킹 54위이고 태국과 인도네시아는 각각 89위, 75위다. 

사진=대한민국농구협회 제공

 문 형제의 눈빛이 번뜩인다. 문정현은 “한국 랭킹이 많이 떨어졌다. 태국과 인도네시아는 무조건 잡고 더 멀리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번 경기를 하나씩 잡으면서 팬분들께 우리가 이렇게 열심히 뛰고, 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드리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유현은 “형과 함께 승리하고 돌아오겠다. 개인적으로 훈련 땐 부족한 부분이 많았지만, 코트에 서면 눈에 불을 켜고 하겠다. 백업 역할 잘해서 가드 형들이 잠시라도 편하게 쉴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각오했다.

 

최서진 기자 westjin@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