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장관 "글로벌 문화 중추국 도약 위해 앞장"

문체부, 국제문화정책 전면 재편
관광·체육 등 국제교류 사업 연계
34개국 한국 문화원 구심점 역할 다짐

문화체육관광부가 K-컬처와 유관산업의 국제교류 사업을 총괄하는 ‘국제문화정책협의회’를 운영하고, 세계 10여개국에서 한국문화 종합축제 ‘코리아 시즌’을 여는 등 글로벌 문화 중추 국가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문체부는 23일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우선 문화예술, 콘텐츠, 관광, 체육 및 유관 산업의 국제교류 사업을 연계하고 조정하는 총괄적 추진 체계를 마련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대회의실에서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문체부 내에 국제문화정책협의회를 운영해 분야별 정책을 조율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한다. 세계 34개국에 42개소가 있는 재외 한국문화원이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 비즈니스센터, 세종학당 등의 협업을 이끄는 구심점이 되도록 역할을 확대한다.

 

국제문화교류지원 전담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설치 근거를 법제화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 등 다른 기관의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진흥원 중심으로 재편한다.

 

기존 국제문화교류 관련 지원사업 구조도 전면적으로 개편한다. 문화예술 분야 민간 국제교류 활동 공모제도는 개별적 정성 심사를 최소화한다. 지원 항목도 항공료 등으로 표준화하고 정산 절차도 간소화한다.

 

소규모 개별 행사들도 단일 브랜드로 통합한다. 별개로 운영하던 문화행사 순회 지원사업을 ‘투어링 K-아츠’로 일원화한다. 수교·국제행사 때 진행하는 한국문화 축제는 ‘코리아 시즌’으로, 기업 대상(B2B) 행사는 ‘코리아 엑스포’라는 단일 브랜드로 재편한다.

 

한국문화 전반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코리아 시즌은 연간 10개 내외 대상 국가를 선정해 개최를 검토하고 총괄 예술감독을 선임한다.

 

해외 사업 거점 확대를 위해 올해 싱가포르, 인도, 호주, 스페인 등에 콘텐츠 해외 비즈니스센터 10개소를 새롭게 개설하고 2027년까지 50개소로 늘린다.

 

K-컬처의 수출 기반 마련을 위한 금융 지원(완성보증 수출용 보증 한도 30억원→50억원), 저작권 보호 지원(해외 출원등록 지원 125개사→200개사)과 함께 콘텐츠 번역인력(42명→70명) 등 전문인력 양성도 확대한다.

 

한류와 연관된 소비재 간 연계 강화를 위해 부처 간 협업도 강화한다. 여러 부처가 참여하는 K-박람회는 올해부터 연간 2회 이상 개최한다. 외교부와 협업해 재외공관(167곳)을 거점으로 한국문화 체험 행사를 제공하고, 교육부와는 현지에서 문화행사와 연계한 유학박람회 등을 개최한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이번 추진전략을 토대로 기존 정책을 체계적으로 정비, 확대하고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이끌어 우리나라가 글로벌 문화 중추 국가로 도약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