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유독 시리고 저린 내 다리… 혹시 하지정맥류?

winter women close up portrait in frost forest

겨울철, 유독 종아리에 쥐가 많이 나고 저리는 느낌이 난다면 ‘패션 아이템’ 때문은 아닐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타이트한 롱부츠, 다리 전체를 압박하는 꽉 끼는 바지, 레깅스 등은 하체 혈액순환을 방해해 하지정맥류를 악화시킬 수 있다.

 

김건우 민트병원 정맥류센터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따르면 “하지정맥류는 혈액을 심장 방향으로 끌어 올려주는 정맥 내 판막이 다양한 이유로 손상돼 혈류가 역류하는 질환”이다. 증상에 따라 혈관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잠복성 하지정맥류도 있다.

 

일반적으로 다리가 겉으로 노출되는 여름에 하지정맥류를 많이 인식하지만 하지정맥류를 악화시킬 요소가 많은 계절은 겨울이다. 앞서 말했듯 겨울철 패션 아이템 외에도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크면 혈관의 확장과 수축이 반복하고 판막 기능에 이상이 생길 우려가 더 높기 때문이다. 겨울철 더 즐겨 찾게 되는 뜨거운 탕목욕이나 사우나, 찜질방도 하지정맥류에 좋지 않다.

 

김건우 센터장은 “하지정맥류가 있다면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역류하면서 혈관이 튀어나오게 되고 다리 피로감, 묵직함, 하지부종, 다리 저림 등을 겪을 수 있다”며 “심한 경우 자다가 근육 경련이 나타나 통증을 유발하고 하지궤양, 괴사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건우 센터장은 위의 이상 징후가 느껴지는 경우 병원을 찾아 도플러 초음파검사를 받는 게 권고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혈액의 방향, 속도, 역류 상태 등 혈류를 파악하는 도플러 초음파검사는 정맥류 질환을 파악하는 가장 확실한 검사로, 정맥학회에서 지정한 국내 진단 표준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초음파검사 없이 또는 기준이 명확치 않은 검사로 진단, 치료하는 등의 과잉치료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가이드라인에 맞춰 명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하지정맥류로 진단받았다면 상황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하게 된다. 초기라면 수술이나 시술 없이 정맥순환개선제를 처방받아 복용하거나 활동 시간 압박스타킹 착용 등으로 증상을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고 정맥류가 2~3기 이상 진행되고 있다면 시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과거에는 피부를 절개해 혈관을 뽑아내는 발거술을 주로 했으나 통증이 심하고 입원 기간이 길며 일상생활 복귀가 오래 걸렸다. 최근에는 최소침습 치료가 활발하다. 작은 주삿바늘 크기 정도의 절개 후 ▲고온으로 혈관을 태워 폐쇄하거나(레이저/고주파 열 폐쇄술) ▲생체접착제로 혈관을 막거나(베나실) ▲경화제로 혈관을 굳히는(클라리베인) 치료법이 개발돼 있어 의료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넓은 편이다.

 

김건우 센터장은 “특정 치료가 좋다기 보다는 환자의 나이, 직업, 증상, 범위, 알레르기 유무, 치료 혈관 개수, 일상 복귀 일정 등을 고려한 뒤 의료진과 적절한 치료법을 논의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혈관 내 최소침습 치료를 선도하는 인터벤션 영상의학과에서 안전하게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