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이상 여성 절반이 가진 ‘자궁근종’… 꼭 치료해야 할까?

30세 이상 여성 절반 정도가 갖고 있는 흔한 양성종양이 바로 ‘자궁근종’이다.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에 발생, 1cm 이하 크기부터 15cm 이상 거대 근종에 이르기까지 형태나 크기가 다양하다.

 

자궁근종은 생명에 악영향을 끼치는 위중한 질환은 아니지만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자궁근종을 가진 경우 무증상도 있지만 생리통, 생리과다가 유발되면서 이로 인해 빈혈, 복부팽만, 요통, 성교통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자궁근종의 발병 원인은 뚜렷하지 않다. 민트병원 여성의학센터 김하정 원장(산부인과 전문의)은 “자궁근종 발병 요소에는 가족력, 여성호르몬, 스트레스, 인스턴트·고지방식 등 식습관의 영향 등이 꼽힌다”고 말했다.

자궁근종이 있더라도 무조건 수술 등의 치료를 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생리통, 생리과다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크기나 너무 크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꼭 자궁근종 절제술이 아니더라도 상황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김하정 원장은 치료법 결정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관건이라고 강조한다.

 

일반적으로는 자궁초음파 검사를 주로 하지만 수술 여부를 정할 때는 자궁MRI 검사가 더 유리하다. MRI 검사는 자궁근종의 크기, 위치, 개수 파악뿐 아니라 자궁내막과의 관계, 세포 성분비, 혈류량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치료 방향 결정에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환자의 다양한 요소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선 환자의 ‘나이’가 중요하다. 근종은 완경(폐경)에 가까울수록 성장의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비슷한 크기의 자궁근종이라도 40대 중후반이라면 추적 관찰을, 30대라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고민하는 식이다. 물론 나이가 완경에 가까워도 증상이 심하면 치료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

 

김하정 원장은 “자궁근종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시행하기보다는 보존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을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초음파, MRI 등을 이용해 정확한 진단을 받은 뒤 경험이 많은 의료진과 논의 후 치료법을 결정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치료법 자체가 목적이 되기 보다는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어떤 치료가 자신에게 맞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자궁근종 색전술, 자궁경 절제술, 복강경 절제술, 로봇수술, MR하이푸 등 다양한 치료가 있으므로 자궁근종 상태를 기반으로 환자의 나이, 직업, 휴식기간 등을 고려한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