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면 나아지는 하지정맥류? 여전히 ‘진행중’

Young woman stretching while running outdoors on a cold winter evening

“여름엔 분명 다리가 많이 힘들었는데, 조금 나아졌나?”

 

하지정맥류 환자는 상대적으로 겨울철에 증상이 완화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렇다보니 정맥류가 나았다고 착각하고 치료에 소홀해지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이 시기를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건우 민트병원 정맥류센터장(영상의학과 전문의)는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에 평소보다 혈관이 수축되는데, 특히 피부 쪽 혈관이 영향을 받으며 증상이 완화된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정맥류는 여전히 진행 중인 상황”이라며 “하지정맥류는 진행성 질환인 만큼, 한번 발병됐다면 일시적 완화에 그칠 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에서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판막이 손상돼 특정 위치에 역류가 발생하며 정맥이 확장되고 늘어나는 혈관질환이다. 이는 노화, 임신, 유전 요인, 생활습관 등으로 발생하고 악화된다. 흔히 종아리에 울퉁불퉁 튀어나온 혈관이 상징적으로 여겨지지만, 잠복성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처음엔 별 다른 증상이 없지만 통증, 저림, 무거움, 열감, 가려움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새벽에 자다가 종아리가 심하게 저리면서 경련을 겪는 빈도가 늘어난다.

 

김건우 원장은 “이를 방치하면 통증이 심해지거나, 피부색이 검게 변하고 부종과 피부궤양 등이 동반되는 ‘만성 정맥부전’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정맥류 진단은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초음파상에서 확인된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진다. 초기 정맥류 환자는 정맥순환 개선제 복용, 의료용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게 권고된다. 김 원장은 “압박스타킹은 종아리와 발목을 강하게 압박해 혈액을 아래서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한다”며 “이는 정맥순환을 돕지만, 질환 초기를 넘어서 어느 정도 진행된 상황이라면 압박스타킹 착용만으로는 치료하기 어렵다”고 조언했다.

 

이후 상황에 따라 비수술적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정맥류 진행 정도는 육안으로 보이는 혈관의 굵기로 가늠해볼 수 있다. 푸른 힘줄이 비치는 정도의 1기, 혈관 직경이 2mm 이하이면서 거미상정맥이 관찰되면 2기, 푸른 힘줄이 세 줄기 이상 돌출되고 라면 면발과 비슷한 굵기는 3기, 우동 면발 정도의 굵기는 4기, 돌출된 혈관 굵기가 손가락 정도로 굵어졌다면 5기로 분류된다.

 

최근엔 문제 혈관을 뽑아 제거하는 절개 치료의 수요는 크게 줄어들고 있다. 병변을 고열로 폐쇄하는 고주파·레이저 치료, 경화제나 생체접착제로 폐쇄하는 클라리베인, 베나실 등이 연이어 개발돼 환자의 치료 옵션이 더 넓어졌다.

 

이렇게 하지정맥류를 치료했더라도 생활습관을 함께 교정하는 것이 권고된다. 다리 꼬는 자세를 자주 취하거나 하체를 압박하는 꽉 끼는 바지, 레깅스의 장시간 착용은 피하는 게 좋다.

 

이와 함께 한 자세로 오래 앉거나 서 있는 것도 지양해야 한다. 김 원장에 따르면 1시간에 한번, 스트레칭이나 가볍게 다리를 풀어줄 수 있는 운동을 짧게, 자주 해주는 게 좋다.

 

김 원장은 “겨울철 날씨가 춥다고 해서 너무 뜨겁게 전기장판을 사용하거나 히터를 트는 습관은 혈관이 늘어나기 쉬워 피해야 한다”며 “족욕이나 반신욕도 최대한 빨리 마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운동도 필수다. 김건우 원장은 하지정맥류에 좋은 운동으로 유산소운동과 다리 스트레칭을 꼽는다. 발 끝을 뻗고 풀어주는 기본적인 스트레칭도 좋다.

 

그는 “흔히 다리에 정맥류가 있으면 다리를 최대한 쓰지 않는 게 좋지 않냐고 묻는 환자도 많지만, 오히려 자주 스트레칭해줘야 한다. 요가, 수영도 추천한다”며 “다만 복압이 증가해 배꼽 아래 혈관이 늘어나게 만드는 무리한 근력운동은 피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