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프로야구를 더 깊고, 더 넓게…‘뉴노멀’ 가이드북 발간

[스포츠월드=권기범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제한적 일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2021년 KBO는 두 번째 ‘뉴노멀’의 시즌을 맞이한다. ‘2021 크보 뎁스차트’도 새로운 일상을 시도한다. 기존에서 더 깊게 파고 더 시원하게 폈다. 데이터만 긁어 부은 팀별, 선수별 기본 통계에서 한 발 더 들어갔다. 포지션별 뎁스차트를 통해 누구나 구단별 시즌 운영 및 전략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선수 본인의 기록에 그치지 않고 상대에 따른 강약과 장단을 파악했다. 경기장별 특징과 기록을 정리한 ‘파크팩터’는 지금껏 팬들에게 편견 수준에 그쳤던 경기장 변수를 제3의 데이터로 끌어올린다. 새롭게 채택한 매거진 판형도 눈길을 끈다. 빽빽하고 답답한 기존 스카우팅리포트 스타일에서 벗어나 매거진 특유의 레이아웃으로 시각적 청량감을 선사한다.

 

프로야구 팬들의 필수 채널 <크보핵인싸>를 운영하는 <스포츠조선>의 각 구단별 담당 기자들이 뭉쳐 『2021 크보 뎁스차트』를 완성했다. 선수 명단 나열이라는 기존 틀에서 벗어난 『2021 크보 뎁스차트』는 포지션별 ‘뎁스차트’를 추가했다. 2차원으로 퍼져있던 명단 표시에 위아래 방향성을 가미한 ‘뎁스차트’는 팬들에게 구단별 각 포지션 현황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응원팀의 포지션별 로스터가 어떤 상황인지, 상대의 약한 고리가 어디인지를 ‘뎁스차트’를 통해 한눈에 알 수 있다.

 

‘파크팩터’도 깊이 들어간 시도 중 하나다. 『2021 크보 뎁스차트』는 KBO 10개 경기장의 특징 및 세부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파크팩터’를 이용해 경기장 변수가 또 다른 유의미한 데이터로써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경기장마다 조금씩 다른 규격부터 지난해 가장 ‘핫’하거나 ‘콜드’한 영역을 그래픽으로 소개했다.

 

또 매거진 판형을 채택했다. 기존의 시즌 가이드가 콤팩트한 사전류였다면 ‘뉴노멀’ 『2021 크보 뎁스차트』는 패셔너블한 매거진 감성을 통해 독자에게 시원하고 상쾌한 경험을 제공한다. 답답한 사전류에서 벗어나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거듭난 모습으로 프로야구 팬들의 오감을 충족한다.

 

10개 구단을 각각 맡아 연중무휴 밀착 취재하는 기자들이야말로 담당 구단에 관해서는 가장 가깝게, 가장 깊이 아는 주인공들이다. 『2021 크보 뎁스차트』는 10개 구단 스페셜리스트들의 현장 통찰력을 고스란히 담았다.

 

■저자 소개

박재호=1996년 <스포츠조선>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해 아직도 한 곳에 머무르고 있다. 프로야구, 프로축구, 농구, 배구, 골프, 씨름 등 프로스포츠는 전부 취재한 경험이 있다. 깊이는 몰라도 겉은 한번씩 다 훑었다. 스포츠콘텐츠팀 데스크(야구부장)로서 유튜브 채널 <야구부장의 크보핵인싸>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TV로도 만날 수 있다.

 

정현석=1999년 <스포츠조선> 야구부로 출발해 강산이 두 번 변하는 동안 현장을 누비고 있다. 야구 팬들의 함성에 묻혀 자판을 두드릴 때 아드레날린 분비를 느끼는 현장 지향 야구전문 기자. 연예부장, 체육부장을 거쳐 야구 현장 기자로 돌아와 2019년부터 삼성 라이온즈, 2021년부터 NC 다이노스를 담당한다.

 

노재형=1999년 야구잡지 <베이스볼코리아>를 시작으로 허구연 해설위원 사무실을 거쳐 2001년 <스포츠조선>에 입사해 지금까지 22년간 현장을 다녔다. 학창 시절의 절반은 야구였다. 취미가 직업이 되는 걸 썩 추천하고 싶지는 않지만 열정은 쏟을 만하다. 최근 3년간 LG 트윈스를 출입하다 2021년 KT 위즈를 담당한다.

 

권인하=2000년 <스포츠조선> 입사. 2004,2005년을 제외하고 20년째 야구 기자로 그라운드에서 생생한 기사를 쓰고 있다. 2002년 부산, 2006년 도하, 2010년 광저우,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야구 취재를 했다.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현대 유니콘스, SK 와이번스, KIA 타이거즈, 키움 히어로즈 등 여러 팀 담당을 맡았다. 2021년부터 LG 트윈스를 담당한다.

 

박상경=스포츠 현장에서 숨쉬고 싶은 꿈을 기자로 이뤘다. 2007년 <뉴시스> 스포츠부 입사 후 2011년부터 <스포츠조선>에서 활동 중. 월드컵, UEFA챔피언스리그, 아시안컵, 올림픽 등 굵직한 축구 현장을 거쳤다. 어릴 적 아버지 손을 잡고 찾은 야구장의 추억을 떠올리며 2018년부터 야구 담당 기자로 활동 중이다.

 

김진회=2008년부터 체육 기자를 시작해 2010년부터 <스포츠조선>에서 스포츠 현장을 누비고 있다. 축구 기자로 오래 활동했지만 2019년부터 발령받은 야구 팀에서 야구의 매력에 푹 빠져살고 있다. KBO리그 최고 명문 KIA 타이거즈 3년 담당 기자 중 최다 출장자로서 누구보다 KIA 속사정을 잘 안다고 자부함.

 

김영록=류중일과 김현준, 고려증권을 응원하며 자란 모태 스포츠 팬. 2011년 <동아닷컴>에서 기자로 입문, 2014년부터 <스포츠조선>에서 활동했다. 엔터테인먼트팀에서 가요와 예능 분야 기자로 일했지만 소년 시절의 로망을 따라 2020년부터 스포츠팀에서 KBO리그를 취재중이다. 야구 기자 데뷔 첫해 한화 이글스를 맡았고 2021년부터 롯데 자이언츠를 담당한다.

 

나유리=2013년 <엑스포츠뉴스>에서 시작해 2016년부터 <스포츠조선> 스포츠팀 기자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네이버 <라디오볼>, OBS 라디오 등을 통해 야구 이야기를 전했고 유튜브 채널 <야구부장의 크보핵인싸>에서 반고정 패널로 출연 중이다. 2017년부터 두산베어스를 담당하고 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