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조정실,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경찰청, 관세청 등 12개 부처와 서울시, 경기도 등 17개 시∙도로 구성된 범부처 합동 불량식품근절추진단은 설 제수용∙선물용 식품을 제조∙가공하는 업체와 백화점,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판매업체를 대상으로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666명과 범부처 관련기관 3814명이 합동으로 실시했다.
주요 위반내용은 ▲허위표시 등 표시기준 위반(18곳, 소담떡방∙초원식품∙성미제과∙웅촌양조장∙백청우식품∙신흥물산∙진산푸드 제2공장∙무안폐백∙양정달마루골∙나래식품공장∙거해식품∙새시대체인벨몽드효자점∙일광제과∙보배식품∙그린죤유통∙홍해정육점∙황금시장 식육점∙뚱보네)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보관(11곳, 아리랑푸드∙남도찬방∙드림마트∙홈마트∙참마트 안의점∙K1마트 2호점∙청정에브리마트∙중문농협식자재매장∙이롬황성주생식산수지점∙자연플러스한우∙게인플러스) ▲보존 및 유통기준 위반(3곳, 밤맛고을∙굿앤굿스마트∙풀마트) ▲자가품질 검사 미실시(16곳, 시루방∙중곡제일시장아리청정협동조합∙신흥농산∙에르트∙신명순약과누룽지∙담백원영농조합법인∙ 보광산업푸드∙농업회사법인 술마루∙농업회사법인 술샘∙너츠비츠∙지호∙푸드원 외식산업∙그린식품∙농업회사법인 애민∙다산농산 즉석두부∙봉동식품)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43곳, 풍경푸드∙육일식품∙삼화식품∙부원식품∙명가식품∙미래종합식품∙삼호식품∙한빛민속식품∙일미식품∙남한산성식품∙한양유통2∙카밀식품∙고궁∙미담푸드∙백암식품∙두부나라∙소이엔∙디웰푸드∙남서울제과∙이동주조∙보은대추한과∙로만∙마루전통한과∙군산식품∙영농조합법인 학정마을∙전주하나로떡집∙약수골식품∙남양다원∙제주떡이야기∙떡파는 사람들∙미가푸드∙신포우리식품∙뚝배기 반찬∙우리반찬∙ 영암마트진월점∙한림농업협동조합 하나로클럽∙모든아이∙순천방향 휴게소 내 위즈코프 주암∙달인의꿈∙갓구운빵∙가천린포크∙참조아육가공∙현대식육점) ▲시설기준 위반(7곳, 소리가있는동네∙문배주양조원∙초례청∙만나식품∙민속식품 명가∙소백산두부∙송화식품) ▲건강진단 미실시(49곳, 금산식품∙서광식품∙떡愛미소식품∙오양식품∙성원식품∙라틴커피∙해밀∙청수식품∙제뉴인∙소문난삼부자∙초정푸드∙옹골진삼영농조합법인∙대진식품∙대륙식품∙금성배니닭강정∙제일떡집∙서흥떡집∙장더보고식자재마트∙해피마트∙우리홈마트 계산동∙진로마트 임학동∙청호유통∙삼성할인마트∙한사랑할인마트∙진로마트 부평동∙에덴마트∙아울렛마트∙ 파워마트∙희성식품∙진로마트∙굿모닝식자재마트∙애플마트∙1등마트 한솔유통∙디에스식자재마트∙한국유통∙자연愛마트∙농수산물센터∙농민마트 상현동∙수지탑마트∙콜 유통센터 ∙제이마트∙축산홈마트∙우리마트∙k-mart∙카페앤다이닝∙두리제사음식튀김∙대일축산∙롯데쇼핑 롯데마트사상점∙코코들) ▲원산지 거짓표시 또는 미표시(287곳) ▲기타(51곳) 등이다.
특히, 유통기한 변조, 부적합 물 사용 등 중대한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한번만 어겨도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가 적용되는 업체도 1곳 적발됐다.
stara9@sportsworldi.com
사진설명
식약처 직원이 서울의 한 식당에서 냉장 보관중인 식자식재 등에 대한 위생 점검 활동을 하고 있다. 세계일보DB.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