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향성발톱은 발톱이 변형이 되면서 살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증상을 말한다. 방송에 보여줬던 하니의 엄지발톱 모양처럼 변형이 심하게 일어난 경우에는 보행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점차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는 발톱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내향성발톱이 발생하는 원인은 하이힐과 단화 같이 앞쪽 굽이 좁고 딱딱한 신발을 오랫동안 신고 다니거나 서 있는 경우와 발톱을 일자로 자르지 않고 발톱 양 끝은 둥글게 파서 깎는 경우, 발톱 무좀이 있는 경우, 비만으로 인해 살이 비대해지면서 발생하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발 무좀을 방치해서 발톱까지 전이 된 경우 발톱 모양이 서서히 변형되면서 내향성발톱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발 무좀은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내향성발톱의 치료는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하는 것이 좋다. 가벼운 내향성발톱의 경우는 조갑거터술과 같은 가벼운 치료로 끝나지만 심각한 내향성발톱의 경우는 수술을 통해 발톱의 일부나 전체를 제거해야 한다. 이 경우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줄 수 있어 증상이 더 심해지기 전에 발톱을 교정해 주는 치료 방법인 ‘스트링’ 치료로 변형된 발톱의 모양을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다.
스트링치료는 모양이 변형된 발톱에 특별히 제작된 형상기억 합금으로 만들어진 고리를 끼워서, 변형된 발톱이 정상적인 모양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교정해 주는 치료 방법으로 전문의에 진료로 처방에 의해 치료가 이뤄지며 내과적인 질환의 합병 상태와 상관없이 시술이 가능하다. 단, 중증의 내향성발톱의 경우 외과적인 부분 절제 수술과 병행 시술이 필요하고, 치료 후 4주 정도 경과 하면 1차 교정이 완료 된다.
홍남수 원장은 “내향성발톱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함을 줄 수 있으므로 발생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교정 치료로 내향성발톱을 치료하는 것이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로 할 수 있으므로 걸을 때 발가락과 발톱에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피부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며 내향성발톱의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치료효과 및 교정효과가 높다고 강조했다. 또, 홍 원장은 “스트링 치료는 1회의 수술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고 시술 후 수일간의 불편함은 있지만 곧 정상적인 일상으로 복귀가 가능하고, 재발률이 낮아 환자의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내향성발톱 치료 후에는 재발하지 않도록 일상생활에서 잘못된 생활습관은 고치고 신발은 자신의 발 모양에 맞고 편안한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이 좋다. 젖은 신발은 무좀이 생기기 쉬우므로 잘 말려서 신고 다녀야 하며, 발톱을 자를 때는 둥근 모양이 아니라 일자 모양으로 자르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조원익 기자 wick@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