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장시간 운전·주방일이 부르는 하지정맥류

추석 연휴 기간에는 오랜 시간 앉거나 서 있는 일이 많다. 장거리 운전, 음식 준비 등으로 하루 종일 한 자세를 유지하다 보면 다리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하지정맥류가 악화될 수 있다.

 

하지정맥류는 정맥 내 판막이 손상돼 혈액이 역류하고, 이로 인해 정맥이 확장·돌출되는 질환이다. 유전, 노화, 임신, 직업적 요인 등이 발병 원인이 되며, 특히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겉으로 혈관이 울퉁불퉁 드러나는 경우도 있지만, 눈에 띄지 않는 잠복성 형태로 진행되기도 해 조기 진단이 어렵다.

 

민트병원 혈관센터 김건우 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은 “하지정맥류는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악화되기 쉬운데, 명절에는 장시간 운전이나 주방일로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시간이 많다”며 “의식적으로라도 틈틈이 움직이고 다리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양반다리,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 다리를 꼬는 습관은 하지정맥류에 좋지 않으며, 하체를 압박하는 꽉 끼는 옷이나 레깅스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민트병원 김건우 정맥류센터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

잠들기 전 간단한 운동으로 순환을 돕는 것도 도움이 된다. 김 원장은 “하늘자전거처럼 다리를 들어 천천히 움직이거나, 누운 상태에서 발끝을 세웠다 눕혔다 반복하는 동작이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고 말했다.

 

일부는 다리 통증이 있으면 움직이지 않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가벼운 움직임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걷기, 요가, 필라테스, 수영 등은 하체 순환을 돕고 정맥 압력을 낮춘다. 반면 고중량 하체운동, 무거운 짐 들기, 장시간 서 있는 활동은 정맥에 부담을 줄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정맥류는 도플러 초음파나 정맥기능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초기라면 압박스타킹 착용이나 혈류 개선제를 통한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증상이 진행된 경우에는 정맥 내 이상 부위를 폐쇄하는 비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김건우 원장은 “하지정맥류는 단순 미용 문제가 아니라, 방치할 경우 피부염이나 궤양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이라며 “명절 연휴에도 꾸준히 다리를 움직이고, 증상이 반복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