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혹사를 당하는 관절 부위로 꼽힌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등 하루에도 수십 번씩 손목을 구부렸다가 펼치는 패턴이 일상으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손을 쉼 없이 사용하는 시대 속에서 점점 더 많은 이들이 경험하는 부작용이 있다. 바로 손끝 저림과 찌릿한 통증이다. 문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러한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 채 방치한다는 점이다. 만약 손끝 저림, 손목 통증 등이 반복되면서 점차 심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목 안쪽의 좁은 통로인 수근관에서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으며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정중신경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감각과 움직임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이다. 만약 해당 부위에 압박이 지속되면 저림, 감각 저하, 심지어 손의 힘이 약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악화되면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젓가락질이 어려워지는 등 일상생활 속 불편이 커진다.
이 질환의 주요 원인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손목의 반복적인 사용이다. 키보드와 마우스 작업, 스마트폰 조작, 가사노동 등 일상 속 다양한 손목 사용이 누적되면서 수근관 내 압력이 상승하고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특히 40~60대 여성, 당뇨병이나 갑상선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비만 환자, 신부전 환자 등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손목터널증후군 초기에는 밤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자다가 저림 증상으로 잠에서 깨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시간이 지나 증상이 악화되면 엄지 부위의 근육이 위축되고 손의 정교한 동작마저 어려워질 수 있다. 심지어 치료 시기를 놓치면 수술을 하더라도 완전한 회복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료는 증상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에는 손목을 쉬게 하고 보조기 착용,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도 정중신경 손상을 최소화하는 최소 침습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한 자가 진단 방법도 존재한다. 양손을 앞으로 내밀고 손등을 맞댄 상태에서 손목을 직각으로 꺾어 30~60초간 유지했을 때 손끝이 저리거나 찌릿한 증상이 나타나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참고용일 뿐 증상이 반복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일병원 방형식 원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인데 장시간 손목을 사용할 때 틈틈이 손목 스트레칭을 해주고 손목에 부담을 줄이지 않는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라며 "손목 젖히기 스트레칭이나 손목 돌리기 같은 간단한 운동도 도움이 되는데 또한 인체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손목의 부담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