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까지 6개월 남았는데…쇼트트랙 대표팀 감독 교체, 김선태 임시 총감독 선임

김선태 연맹 쇼트트랙 경기이사 겸 성남시청 감독이 대표팀 임시 총감독으로 선임됐다. 사진=신화/뉴시스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까지 6개월여밖에 남지 않은 시점, 쇼트트랙 대표팀 사령탑이 교체됐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21일 “지난 20일 제3차 이사회에서 김선태 연맹 쇼트트랙 경기이사 겸 성남시청 감독을 대표팀 임시 총감독으로 선임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공금 문제가 있었던 기존 지도자 2명의 징계가 무효화됐지만,  연맹은 중대한 위반행위로 보고 지도자 A의 보직을 변경하고 지도자 B를 해임하기로 결정했다. 빈자리는 김선태 임시 총감독이 채운다. 연맹은 김 감독 선임 배경에 대해 “뛰어난 지도력을 인정하여 연맹 경기력향상위원회 회의를 통해 최종 후보자로 선정했다”며 “현재 국가대표팀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최적의 인물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김 감독 역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지도자 중 한 명이다. 사령탑을 맡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성과를 이끌었다. 문제는 대표팀 내 벌어진 폭행 사건이었다. 당시 국가대표였던 심석희가 코치로부터 폭행을 당했다. 관리하지 못한 책임으로 김 감독은 연맹으로부터 1년 자격정지를 받았다. 이후 중국 대표팀을 맡았다.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편파 판정 이슈가 불거져 국내 팬들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시간이 없다.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에 시작된다. 선수들이 훈련에 매진해야 하는 시기이지만, 지도자가 바뀌는 등 잡음이 일어 피해를 보고 있다. 연맹은 “연맹은 대표팀 선수들이 안정된 환경에서 훈련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도자 운영 관리 체계를 재정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존 지도자 2명은 지난 5월 국제대회 기간 공금 처리 문제로 스포츠공정위원회에 회부됐다. 자격 정지 1개월, 3개월의 징계를 받았다. 각각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 재심 청구와 가처분 신청에 나섰다. A 지도자는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에서 재심의 신청 인용 결정이 나왔고, B 지도자는 법원에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해 인용 결정을 받았다.

 

하지만 연맹은 선택은 교체였다. 연맹은 “A 지도자는 선수단 관리 소홀과 지도력 부재 등으로 2024~2025 ISU 월드투어 시리즈,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저조한 성적을 냈다.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내년 동계올림픽 준비에도 심각한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B 지도자는 공금을 부당 청구한 당사자로서, 금액이 적다 해도 국가대표 지도자로서 양심과 책임 의식을 저버린 행위를 했다. 불성실한 태도와 갈등 유발 행위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해임 결정은 향후 연맹 스포츠공정위원회 및 인사위원회 등 행정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최서진 기자 westjin@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