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 후 무릎 통증, 반월상연골판 파열·연골손상 주의해야

다이어트를 위해 러닝을 시작하는 사람이 많다. 간단한 준비운동만으로 바로 시작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아 접근성이 높지만, 무릎 건강에는 의외로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러닝 후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 중 상당수는 반월상연골판 손상이 원인이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연골로, 체중과 외부 충격을 흡수·분산하며 관절 연골을 보호한다. 손상되면 무릎이 붓거나 물이 차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힘이 빠지거나 ‘걸리는 느낌’이 나타날 수 있다.

◆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진행

 

러닝을 즐기는 이들 중 상당수는 “가벼운 통증쯤은 시간이 지나면 낫는다”라며 무릎 통증을 방치한다. 그러나 반월상연골판은 한 번 찢어지면 스스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치면 손상이 점점 커지고, 관절염 발병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다. 

 

실제로 무릎 속에서 ‘뚝’ 소리가 나거나, 달린 후 붓기와 통증이 지속된다면 단순 근육통이 아닌 구조적 손상 가능성을 의심해야 한다.

 

◆원인과 치료

 

손상 원인은 다양하다. 갑작스러운 방향전환이나 급정지, 미끄러짐 같은 외상, 농구·축구 등 과격한 스포츠 활동, 나이와 함께 진행되는 퇴행성 변화도 원인이 된다. 손상 형태는 수평형, 방사형, 종파열 등으로 나뉘며, 각각 치료법이 달라진다.

 

서울바른세상병원 관절클리닉 김형식 원장에 따르면 초기 경미한 손상은 약물·물리·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손상이 심하거나 기능 장애가 뚜렷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그는 “관절 내시경을 통한 최소 절개 수술이 대표적이며, 찢어진 연골을 봉합하는 연골판 봉합술, 손상 부위만 제거하는 부분절제술, 기증 연골을 이식하는 연골판 이식술이 있다. 봉합술은 젊고 활동적인 환자에게, 이식술은 연골판 기능이 거의 상실된 경우 시행된다”고 설명했다. 

◆재활과 예방의 중요성

 

수술 후에는 재활이 필수다. 일정 기간 목발과 보조기를 착용하며 무릎을 보호한 뒤, 무릎 각도와 체중 부하를 점진적으로 늘려 근력과 안정성을 회복한다. 보통 일상생활 복귀까지 6주, 격한 운동은 최소 6개월 이상 피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무릎 주변 근육 강화가 중요하다. 수영, 자전거 타기, 가벼운 걷기는 하체 근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평소 양반다리, 쪼그려 앉기, 과도한 등산이나 계단 오르내리기는 무릎에 부담을 줄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러닝 시에는 체중의 3~5배에 달하는 하중이 무릎에 전달되므로, 쿠션이 좋은 러닝화를 착용하고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보폭을 줄여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안전하다.

 

김형식 원장은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단순 피로로 착각해 방치하면 손상이 커지고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러닝 후 무릎 통증이나 붓기, 걸림 증상이 있다면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운동 전후 충분한 준비운동, 체중 관리, 러닝화 선택만으로도 부상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