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불균형과 인구소멸 위험이 대한민국 최대 국가과제로 떠올랐다. 실제 지방 곳곳은 빈 상가와 고령 인구 증가로 활력을 잃고 있다.
전문가 중에는 지방을 살릴 해법으로 ‘관광’을 꼽는 사례가 많다. 주변국인 일본에서도 소멸 위기 지역에 관광 이주 프로그램을 도입해 여행과 정주를 연계한 긍정적 사례가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느낄까. 문화관광·지역축제 전문가인 전계욱 지엔씨21 대표(사진)는 “관광은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훌륭한 요소다. 하지만 지역 소멸과 인구 감소 상황에서는 단순 1회성 축제나 관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집객력이 있는 매력적인 체류형 콘텐츠 개발과 더불어, 국가 차원의 지속가능한 지역 개발 계획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대표는 지역축제의 달인으로 불린다. 실제 그는 자신이 세운 지역관광컨설팅회사인 지엔씨21 임직원들과 함께 전국 방방곡곡의 콘텐츠를 직접 찾아내 개발해왔다. 광역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해 연천, 평창, 횡성, 화천, 태백, 원주, 울진, 봉화, 영주, 충주, 제천, 음성, 단양, 무주, 완주, 장흥, 함평, 고흥, 순천 등지와 인연을 맺었다. 이들 지역에서 관광명소, 축제, 관광이벤트 등 지역의 문화관광자원 컨설팅에 나서왔다. 그가 한 번 거쳐가면 해당 지역은 명소로 거듭나면서 여행 인플루언서가 다녀가고 수많은 방문객들의 대열이 이어지곤 했다. 20여년간 국내 지역관광명소를 소개하는 그의 콘텐츠는 무려 6만여 건에 달한다.
전 대표에게 실제 현장에서 관광·여행 사업이 지역 소멸이나 인구 감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는지 물어봤다. 그는 “예를 들어 지역축제가 지역 소멸이나 인구 감소를 막아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분명하다”며 “다만 이미 인구 감소가 어느 정도 진행된 곳에서는 축제를 열기 어렵고 개최하더라도 집객에 부담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라고 짚었다.
그는 ‘관광개발 시점’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인구 감소가 진행된 곳보다 인구 감소 현상이 나타날 기미가 있을 때 지역축제 등의 콘텐츠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
전 대표는 “소가 나갈 것 같은 낌새가 보일 때 외양간을 고쳐야 한다”며 “인구감소의 경우 이미 소가 집을 나간 상황이지 않나. 그때는 외양간을 고칠 상황이 아니고 외양간을 허물고 공장을 지어야 할 것”이라고 비유했다. 결국 인구소멸이 꽤 진행돼 방문객 유치조차 힘들 때는 아예 새로운 판을 짜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는 정부나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몫이다.
무엇보다 지역 여행 콘텐츠가 단순 방문을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려면, 집객이 가능한 매력이 있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를 위해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콘텐츠를 찾아 발굴하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책에서 배운 방법으로는 집객이 이뤄지지 않는다”며 “지금 우리 지자체에 집객이 가능한 매력 있는 콘텐츠가 있는지, 또 그런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있는지 확인하는 게 우선”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행정은 보편적”이라며 “‘다른 지자체가 해서 성공했다고 하니 우리도 해봐야지’ 하는 방식은 아닌 것 같다”고도 덧붙였다. 특히 단기적인 실적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지역 여행 콘텐츠가 제대로 개발되기란 쉽지 않다고도 지적했다.
전 대표는 지역 활성화와 지역 개발은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이야기한다. 그는 “지역 활성화 정책에 앞서 각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요소가 무엇인지 발굴하고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라며 “공장 유치, 정부 단체유치, 각급 학교 단체 유치, 문화정책 유치 등이 지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만든다. 지역 활성화는 이런 부분이 가능해질 때 작동하는 기재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