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고, 계단 오르고, 앉았다 일어났을 때 자신도 모르게 ‘아이구’ 소리를 내는 사람이 많다. 이들의 공통점, “무릎이 아파서 운동을 못 한다”는 말을 습관처럼 한다는 것.
이런 증상은 운동을 하지 않아 허벅지 근육이 약해진 게 주된 원인인 경우가 많다. 특히 무릎 관절을 지탱해주는 핵심 근육인 대퇴사두근(허벅지 앞쪽 근육)의 약화는 관절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며 통증과 관절염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

김형진 주안나누리병원 관절센터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사진)에 따르면 대퇴사두근은 허벅지 앞쪽 근육으로 보통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앉았다 일어나기 같은 일상 동작에서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근육이 약해지면 충격이 그대로 무릎 관절로 전달되고, 관절염이나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상당수가 대퇴사두근 근력이 현저히 약한 상태로 나타나며, 근육이 약할수록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 연골이 빠르게 닳고 통증도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김 병원장은 “무릎을 보호하려면 단순히 관절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 근육을 키우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대퇴사두근은 무릎의 부담을 덜어주는 대표적인 근육으로, 이를 강화하면 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고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무릎 관절염은 단계적으로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다. 이렇다보니 환자 상태에 따른 적합한 치료법을 단계별로 적용해야 한다. 김 병원장은 “초기 관절염에는 약물치료와 함께 허벅지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해 통증을 줄이고 관절 부담을 완화하는 게 관건”이라며 “이 시기에는 적절한 관리만으로도 관절 기능을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중기 단계에서는 약물치료 외에도 시술을 병행해야 통증관리에 도움이 된다. 김 병원장에 따르면 관절 내부 윤활을 돕는 히알루론산 주사나 염증 통증완화에 효과적인 스테로이드 성분의 뼈주사, 인대 강화에 도움을 주는 프롤로 주사 등의 주사 치료를 시행하거나 체외충격파, 전기자극 등의 물리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만 연골이 광범위하게 닳고, 일상생활이 힘들 만큼 통증이 심한 말기 관절염 환자에게는 인공관절 수술이 불가피하다. 최근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정밀성과 회복력을 모두 높인 로봇 인공관절 수술 주목받고 있다. 이는 수술 전 환자의 무릎 뼈 구조와 관절 상태를 3D로 정밀 분석해 최적의 절삭 위치와 삽입 위치를 확인한다. 1㎜ 오차 범위와 최소 절개로 출혈과 감염 위험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김 병원장은 “무릎 관절염 치료는 단순히 약물치료나 수술치료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닌, 올바른 생활습관과 운동을 병행해야 효과가 극대화된다”며 “특히 대퇴사두근은 무릎 관절의 부담을 줄여주는 핵심 근육이기 때문에 이 부위를 강화하면 관절염의 진행을 늦출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회복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무릎 앞쪽의 대퇴사두근은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앉았다 일어나기 등 일상 동작에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핵심 역할을 한다”며 “평소 꾸준한 강화 운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