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 당뇨발 피하기 위한 일상 속 ‘발 관리’

국내 당뇨병 환자 중 약 15%는 당뇨발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족부병증이라 불리는 당뇨발은 당뇨를 앓는 환자에게 생기는 합병증으로 발에 발생하는 감각 이상, 궤양, 감염, 괴사 등의 질환을 말한다.

 

당뇨 환자는 발끝 감각이 무뎌져 상처가 생겨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높은 혈당으로 인해 말초혈관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말초혈관이 손상되면 발 끝으로 가는 혈류가 적어 상처 회복이 더뎌진다. 더욱이 면역 기능도 저하되어 있어 상처가 쉽게 감염되고 잘 낫지 않는다.

 

민트병원 당뇨발센터 배재익 대표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의학박사)은 “장기간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미세혈관과 말초신경 손상까지 진행돼 발에 생긴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특히 요즘과 같은 여름철에는 양말을 착용하지 않거나 발이 노출되는 신발을 신어 발 관리에 더 취약해진다. 한 번 생긴 상처는 잘 회복이 되지 않으므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매일 잠들기 전 발을 살피고, 작은 상처나 색깔 변화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Low section of woman walking on grass in park

혈당 관리, 금연, 발톱 관리, 보습 유지 등 일상 속 작은 습관들이 당뇨발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겉에 상처가 없더라도 발이 자주 저리거나, 차거나, 반대로 열감이 심하거나, 피부색이 붉거나 푸르게 변하는 증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초음파 검사 등으로 혈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다면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발이 이미 진행된 경우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발을 보존할 수 있다. 대표적인 치료법이 혈관개통술이다.

 

배재익 대표원장은 “약 2㎜ 정도의 작은 침습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한 후, 막힌 혈관을 열어주거나 노폐물을 제거하는 비수술적 치료”라며 “상태가 악화되기 전 혈류를 회복시키면 심각한 절단이나 장기 합병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혈관개통술은 당뇨발의 진행도에 따라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조기 발견과 대처가 관건이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