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는 더 이상 중장년층만의 질환이 아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이 일상화되고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젊은 층에서도 허리디스크 진단을 받는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30대 디스크 환자 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초기에 염좌 정도로 가볍게 여겨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운동을 즐기거나 근무 중 무거운 짐을 자주 드는 직장인, 혹은 하루 대부분을 책상 앞에서 보내는 사무직군의 경우 디스크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허리디스크는 추간판, 즉 척추 뼈 사이의 연골조직이 제자리에서 밀려나 신경을 압박하면서 허리와 다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허리통증이나 엉치통증 정도로 시작되지만, 점차 증상이 심해지면 다리 저림이나 감각 이상, 심한 경우 대소변 장애까지 초래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의 치료는 단계적으로 접근한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도수치료 등 보존적 방법이 기본이 되며,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과 같은 비수술 치료를 병행한다. 만약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이 필요하다고 해도 모든 환자가 큰 절개를 감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최소침습 디스크 제거술'을 통해 피부 절개를 최소화가능하다.
서울바른세상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배장호 원장에 따르면 최소침습 디스크 제거술은 국소마취 하에 1cm 미만의 절개를 통해 특수 카메라와 장비를 삽입한 뒤,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디스크 조각만을 정밀하게 제거하는 수술이다.

그는 “미세현미경 또는 내시경을 통해 병변 부위를 확대 관찰하며 진행되기 때문에 주변 조직 손상이 거의 없고, 회복 속도도 빠르다. 고령자나 내과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 수술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고려된다. 비수술 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디스크가 재발했을 경우, 하반신에 마비 증상이 나타날 경우, 혹은 다리 힘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대소변 장애가 동반된 경우 등이다. 일반적인 허리디스크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까지 진행하지 않아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지만, 위와 같은 경우라면 빠른 수술적 개입이 필요하다. 수술 시기를 놓치면 신경 손상이 진행되어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배장호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만 이뤄진다면 수술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며 "하지만 이를 단순 근육통으로 착각해 치료를 미루면 오히려 상태가 악화돼 수술이 불가피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초기 증상이 있을 때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소침습 디스크 제거술은 부담은 적고 효과는 높은 치료법으로, 고령 환자나 바쁜 직장인에게도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