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A 신인왕 노리던 윤이나의 추락, 차기시즌 시드도 위험… 반등 신호탄 언제쯤

윤이나가 지난 4월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JM 이글 LA 챔피언십에 출전해 티샷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거듭되는 암초에 덜컹거리는 윤이나의 ‘아메리칸 드림’, 이대로는 내년 항해도 장담할 수 없다.

 

지난해 크리스마스의 여운이 가시지 않았던 12월26일, 윤이나는 미국프로골프(LPGA) 투어 진출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국내 팬들에게 마지막 작별 인사를 건넸다. 2024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3관왕(대상·상금왕·최저타수상)에 이어 퀄리파잉 시리즈 8위로 LPGA 출전권을 따낸 그는 신인왕을 향한 당찬 포부를 드러낸 후, 미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기대감은 컸다. 2022년 6월 한국여자오픈 ‘오구(誤球) 플레이(자신의 것이 아닌 공을 치는 행위)’ 징계로 긴 공백기를 거쳤음에도 단숨에 최고의 자리에 오르며 증명한 빼어난 실력이 그 근거였다. 그 모습 그대로 큰 무대에 펼칠 일만 남은 것처럼 보였다.

 

윤이나가 지난해 12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진출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해 촬영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계의 벽은 높았다. 윤이나는 올해 15개 대회에서 6번이나 컷오프 악몽을 겪었다. 톱10 피니쉬는 없다. 지난 4월 JM 이글 LA 챔피언십에서 써낸 공동 16위와 5월 US 위민스 오픈에서 빚은 공동 14위의 시즌 최고 성적이 그나마 톱10에 가까운 정도였다.

 

적응의 문제로 위안 삼을 때도 지났다. 5월 이후에만 컷오프가 5번이다. 최근 대회인 지난 10일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에서도 오버파(+3) 스코어를 써내는 데 그치며 짙은 아쉬움을 삼켰다.

 

신인왕 레이스에서도 7위(255점)로 존재감을 찾기 힘들다. 다케다 리오(826점·1위), 야마시타 미유(640점·2위) 등 일본 라이징 스타들의 강세가 두드러지면서 초라함이 배가 된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제 그가 LPGA 투어 생존을 걱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내년 시드를 확보하려면 ‘레이스 투 CME 글로브’ 랭킹에서 80위 안에 들어야만 한다. 윤이나는 22일 기준 CME 포인트 223.252점으로 76위까지 미끄러져 있다. 지난해 기준 80위가 획득한 포인트가 456.332점이었다는 점을 감안해볼 때, 선명한 비상등이 켜진 상태다.

 

80위 밖으로 밀리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번 퀄리파잉 시리즈를 거쳐 풀 시드에 도전해야 한다. 이마저도 불발되면 이후로는 스폰서 추천 등 별도의 방법으로 몇몇 대회에 참가하는 데 그치게 된다. 안정적인 투어 활동이 불가능해지는 셈이다.

 

윤이나가 지난 4월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셰브론 챔피언십에 출전해 힘차게 티샷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올 시즌 남아있는 대회는 15개다. 최종전인 CME 투어 챔피언십은 CME 포인트 60위 안에 들어야만 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포인트를 모을 수 있는 대회는 14개다. 지금까지 보여준 컷 통과율(60%·9/15)로는 반전을 기대하기 힘들다. 최근 노출한 쇼트게임 약점, 3~4라운드 뒷심 부족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물론 판을 엎을 한방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실제로 지난 에비앙 챔피언십 우승자인 그레이스 김(호주)이 생애 첫 메이저 트로피와 함께 CME 포인트 순위를 85위에서 26위로 끌어올리는 선례를 남겼다. 윤이나도 극적인 반전에 대한 희망을 키울 수 있는 배경이다.

 

직전 대회 후 2주 휴식을 취한 윤이나는 오는 24일 스코틀랜드에서 열리는 ISPS 한다 여자 스코티시 오픈으로 다시 출발선에 선다. 한국 여자골프 차세대 스타의 자존심 회복을 향한 여정을 주목해야 할 때다.



허행운 기자 lucky77@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