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11일 통상 베테랑 여한구 전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위원(사진)을 통상교섭본부장에 전격 발탁, 대미 관세 협상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정부는 오는 7월8일까지 한미 간 포괄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이른바 ‘줄라이 패키지’ 데드라인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한미 양국 간 통상 현안을 조율할 실무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여 본부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인물로 정통 통상 관료 출신이다. 새 정부에서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로 거론될 만큼 중량급 인사로 평가받는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문회 없이 임명 가능한 통상교섭본부장직에 그를 기용한 것은 통상외교에서의 실전형 소방수 투입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여 본부장은 미중 갈등과 글로벌 통상 전쟁 속에서 경제외교의 균형을 잡아줄 핵심 인재”라고 소개했다.
특히 한미 양국은 오는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기간 중 첫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다. 회담이 성사될 경우, 대미 관세 협상의 향방을 가늠할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G7 회담 이후 여 본부장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양자 회담을 통해 실질적 협상 진전을 모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통상 당국에 따르면, 현재 한국과 미국은 서로의 요구사항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실무 협상에 돌입한 상태다. 미국 측은 자동차, 철강 등 품목 관세 외에도 소고기 수입 월령 제한, 구글 정밀지도 반출 등 비관세 장벽 문제까지 포함한 복합적인 요구를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앞서 미국이 각국에 요청한 ‘최선의 제안서’ 제출 기한(4일)을 대선 일정을 이유로 일주일 연기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한국의 제안서 제출 시한은 공교롭게도 여 본부장의 임기 개시일인 11일로 맞춰졌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