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환자 많은 갑상선질환… 이비인후과 진료 필요한 경우는?

목 앞쪽에 위치한 갑상선은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저하증, 갑상선염 등 매우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갑상선질환은 20~50대 여성들에게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갑상선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으면서 여러 이상 증세를 일으킨다. 갑상선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는 갑상선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본 검사다.

 

요즘 같은 환절기에 발생하기 쉬운 갑상선질환으로는 갑상선염을 들 수 있다. 갑상선염은 세균 감염에 의한 급성 갑상선염부터 자가면역성 만성 갑상선염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갑상선염은 하시모토 갑상선염으로,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특별히 통증 등을 일으키지는 않으며 수년에 걸쳐 서서히 악화되기 때문에 환자 본인도 발병 사실을 눈치채기 어렵다.

 

다만 염증 때문에 갑상선 조직이 파괴되고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이어져 호르몬 부족에 의한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생기면 추위에 약해지고 식욕이 사라지지만 체중이 자꾸만 늘어나게 된다. 조금만 움직여도 금방 피곤해지며 생리 기간과 양이 변한다. 우울하고 무기력한 기분을 호소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 피부가 거칠고 푸석푸석하게 변하며 머리카락도 빠지게 된다.

갑상선기능저하증과 반대로 갑상선 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는 갑상선기능항진증도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다. 신진대사가 너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가만히 있어도 혈압이 상승하고 더위에 약해진다. 얼굴이 쉽게 붉어지며 생리불순이나 생리를 아예 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식욕이 늘어나는 대신 체중이 감소하고 몸이 쉽게 붓고 안구 돌출 증상이 생기도 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항진증이 의심되는 전신 증상은 무심코 지나치기 쉬우나 방치하면 매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속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여성은 물론 남성에게도 생길 수 있는 질환이므로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환자가 스스로 증상을 자각할 정도라면 이미 갑상선질환이 상당히 악화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체 없이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동현 서울 서초성모이비인후과 원장은 “목에 멍울이 잡히거나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다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에도 갑상선 검사가 가능한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갑상선결절은 갑상선암일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뿐만 아니라 세포 검사나 조직검사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이비인후과를 찾아야 한다. 진단부터 치료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찾아 늦기 전에 갑상선질환을 치료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