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조선구마사’ 역사 왜곡 논란에 결국 폐지…초유의 사태 [이슈]

[스포츠월드=최정아 기자]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가 결국 2회 만에 사라진다. 역사 왜곡 논란에 드라마가 폐지가 결정된 것은 초유의 사태다.

 

 SBS 측은 26일 공식 입장을 통해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깊이 인식하여 ‘조선구마사’ 방영권 구매 계약을 해지하고 방송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SBS는 본 드라마의 방영권료 대부분을 이미 선지급한 상황이고 제작사는 80% 촬영을 마친 상황”이라며 “이로 인한 방송사와 제작사의 경제적 손실과 편성 공백 등이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SBS는 지상파 방송사로서의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방송 취소를 결정했다”고 알렸다.

 

 22일 첫 방송 된 ‘조선구마사’는 첫 화부터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태종이 이성계의 환영을 보며 백성들을 무참히 살해하는 모습도 담겨 역사 왜곡이 지나치다는 누리꾼들이 비난이 쏟아졌다. 특히 기생집 술상에 중국 전통 과자 월병 등이 등장하는가 하면, 무녀 무화(정혜성)를 중국풍 의상을 입혔고, 배경 음악에 쓰인 곡도 중국 전통 악기로 연주한 것이 알려지는 등 최근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이 거세진 가운데 국내 시청자들의 반중 정서에 기름을 부었다.

 이에 제작진 측은 “상상력을 가미해 소품을 준비했다. 어떤 특별한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청와대 국민 청원은 물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민원도 폭주하는 등 성난 시청자들의 분노를 잠재울 수는 없었다.

 

 문제는 끝이 없었다. 중화권 기반 동영상 사이트 WeTV는에는 ‘조선구마사’에 대해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국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둔 드라마”라고 쓰여있다. 또한 “바티칸이 불교 국가인 ‘고려’를 대체하기 위해 북한의 건국을 지지했다”고 설명했다.

 

 전주 이씨 종친회(전주이씨대동종약원)도 드라마 ‘조선구마사’ 방영 중지를 요구했다.

 

 종친회는 24일 성명을 통해 “역사왜곡 동북공정 드라마 ‘조선구마사’의 즉각 방영중지를 요청한다”라고 밝혔다. 

 

 종친회는 “‘조선구마사’ 내용은 태종, 양녕대군, 충녕대군 등 역사의 실존인물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왜곡해 방영했다”며 “대다수의 국민들과 세계인들이 조선왕조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잘못된 역사 의식을 가질 수 있다는 우려로 해당 방송국과 제작진에게 강력한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드라마 제작사인 YG스튜디오플렉스, 크레이브웍스, 롯데컬쳐웍스와 SBS는 중국식 소품과 의상 사용, 실존 인물 왜곡 등으로 논란을 빚은 데 대해 사과하고, 해당 장면 수정과 더불어 한 주 결방을 통해 작품을 재정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비판 여론은 여전했다. 지난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역사왜곡 동북공정 드라마 ‘조선구마사’의 즉각 방영중지를 요청합니다”는 청원은 게시 이틀 만에 19만6000여명의 동의를 얻을 만큼 반발이 심했다.

 

 제작 지원 등에 참여한 기업들과 지방자치단체들도 잇따라 손절에 나섰다. 온라인에서 불매운동까지 거론되고, 논란이 확산되자 선을 긋고 나선 것이다.

 

 공동제작사 롯데컬처웍스를 비롯해  코지마, 호관원, 뉴온, LG생활건강, 에이스침대, 쌍방울, 하이트진로, 바디프랜드, 삼성전자, 명인제약 등 제작지원부터 단순 광고 편성까지 광고를 줄줄이 철회한다는 입장이 나왔다. 드라마 세트장 촬영 장소를 협찬한 전남 나주시와 경북 문경시도 촬영지 사용 허가 취소 및 인센티브 회수, 장소 협찬 로고 삭제 등을 요구했다.

 

 ‘조선구마사’의 박계옥 작가와 집필 계약을 했던 쟈핑코리아도 계약을 전면 재검토한다. 쟈핑코리아는 중국의 대형 콘텐츠 제작사 항저우쟈핑픽쳐스유한공사(이하 쟈핑픽처스)의 한국 법인이다.

 

 25일 쟈핑코리아 측은 “최근 계약을 맺은 박계옥 작가는 쟈핑코리아의 소속 작가가 아닌, 향후 기획하고 있는 현대극에 대한 ‘집필만을 단건으로 계약’한 것”이라며 “계약 논의 당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조선구마사’에 대해서는 내용조차 알지 못하였으며 제작, 투자 등에 대한 추측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쟈핑코리아는 한중합작 100%의 순수 민간기업”이라며 ‘조선구마사’와는 어떠한 관계도 없으나, 박계옥 작가와 집필 계약을 맺은 기업으로서 사전에 미처 확인하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 책임감을 느끼며 불편을 끼쳐드린 점 사과드린다. 현 사안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조선구마사’가 신(新) 동북공정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4일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이미 중국 누리꾼들은 웨이보를 통해 ‘당시 한국의 전형적인 모습’이라며 드라마 장면을 옹호하기 시작했다”며 “제작진 역시 입장문에서 ‘예민한 시기’라고 언급했듯이, 이러한 시기에는 더 조심했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의 문화와 역사는 우리 스스로 지켜나가야만 한다고 언급하며 “이미 한국 드라마는 글로벌화가 되어 정말로 많은 세계인들이 시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훌륭한 문화와 역사를 알리기도 시간이 모자란데, 왜곡 된 역사를 해외 시청자들에게 보여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ccjjjaaa@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