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는 다리 저림 및 통증, 다리 문제가 아닌 '척추 질환'이 원인이다?

[조원익 기자]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가운데, 다리가 저리고 아픈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다리 통증이 느껴지면, 허리의 문제보다는 다리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꽤 많다. 하지만 신경은 뇌에서부터 이어져 허리, 다리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의 문제로 인한 통증이 아닐 수 있다. 특히 척추 신경이 눌리면 허리통증보다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호소할 수 있어 정확한 검진을 통해 원인을 알고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 압박해 허리 및 다리통증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 허리 숙이고 펼 때 통증 달라

 척추 신경이 눌리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 질환으로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허리디스크도 이에 해당한다. 허리디스크는 의학적으로 ‘추간판탈출증’이라 하며, 척추를 구성하는 추간판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를 탈출하는 것을 말한다. 추간판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으면서 신경을 자극하고 염증이 발생하면서 통증을 일으킨다.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통증이 있으며, 누워서 다리를 수직으로 올릴 때 통증 때문에 올리기가 어렵다. 주로 허리통증을 호소하며, 누워서 쉬면 괜찮다가 활동하면 다시 아파지는 특징이 있다.

 허리신경이 눌리는 두 번째 질환은 ‘척추관협착증’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노화에 의해 척추관 주변의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허리와 엉치, 다리통증까지 나타난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다르게, 허리를 주로 펼 때 통증을 느낀다. 척추에서 다리까지 이어지는 신경이 눌리면서 허리를 비롯해 엉치, 허벅지, 발끝 등이 저리거나 아픈 통증을 느낀다. 누워서 다리를 들 때도 올리기 쉽지만, 보행 시 허리보다 다리가 통증이 심해 오래 걷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강남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김 헌 소장은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을 자극해 압박하면서 허리를 비롯해 다리가 저린 통증을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척추 질환”이라며 “두 질환은 공통적으로 허리 및 다리 통증을 느낀다는 점에서 다르나, 세부적으로 허리를 굽혔다 펼 때, 누워서 다리를 올릴 때 등 다른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통증을 세밀하게 살피고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질환의 근본원인 찾아 해결 ‘경막외 유착박리술’, 허리 및 다리 통증 효과적으로 경감

 허리 및 다리 통증을 느끼는 질환은 신경을 압박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치료하면 통증을 줄이고 편한 일상생활을 도울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적 방법 외에 간단한 시술을 통해 질환의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경막외 유착 박리술’은 미세 카테터를 이용해 신경을 압박하는 원인을 찾고, 압박된 신경을 넓혀주고 유착을 방지하는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이다. 미세한 카테터가 삽입될 만큼의 최소절개를 통해 문제되는 부위에 직접 접근하고, 직접적으로 압박된 신경을 넓혀주고 약물을 주입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경막외 유착박리술은 절개가 최소화되고, 부분 마취 하에 통증을 일으키는 근본원인을 직접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만성 허리통증 환자와 고령의 환자들도 부담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 수술 후에도 지속적으로 통증을 느끼거나,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김헌 소장은 “허리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경막외 유착박리술은 허리통증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고, 통증의 재발도 낮출 수 있다”며 “치료와 함께 평소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노력하며, 평지 걷기나 허리 근력강화 운동을 실천해 허리 주변의 근력을 높이는 것이 허리 및 다리통증을 예방하고 허리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되는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wick@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