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씨는 가까운 안과를 찾았다. 검사 결과 의사는 노안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의사는 라식수술을 권했다. 하지만 선뜻 내키지 않았다. 그 대신, 위에는 먼 거리가 잘 보이고 밑에는 가까운 거리가 잘 보이는 다초점 안경을 맞춰 썼다. 하지만 여간 불편한 게 아니었다. 특히 안경을 쓰고 있으면 어지러워서 업무에 제대로 집중할 수가 없었다. J씨는 결국 안경을 벗어던지고 의사의 권유에 따라 라식수술을 받기로 했다.
눈이 나쁜 사람들한테 라식이나 라섹수술은 이제 필수가 됐다. 안경 착용의 불편함에서 해방될 수 있고 안경으로 인해 ‘훼손’됐던 인상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경이 불편하기는 나이에 상관없다. 여름엔 땀, 겨울엔 김 서림으로 인해 불편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하지만 40대 근시 환자는 선뜻 라식이나 라섹수술을 결정하기 어렵다. 그 연령대에는 단순히 먼 거리의 사물이 잘 안 보이는 문제만 해결해서는 안 된다. 노안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노안이 생기면 원거리뿐 아니라 근거리 시력도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시력이 좋지 않은데다 노안까지 찾아온 40대는 시력을 개선할 방법이 없을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40대라도 노안 증상이 없는 경우엔 20, 30대처럼 라식이나 라섹수술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노안이 찾아온 경우라면 두 눈의 각막을 동일하게 깎아 근시만 교정하는 일반적인 라식수술은 별 소용이 없다. 노안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진행되기 마련인데, 일반적인 라식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근거리 시야가 흐려져 돋보기나 다초점 안경을 또 다시 착용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명동서울밝은안과 김용은 원장은 “따라서 40대 이후에 라식이나 라섹수술을 할 경우 노안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며 “각막 교정을 하는 일반적인 라식과 라섹수술은 노안을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명동서울밝은안과는 40대를 위해 시력도 개선하고 노안도 대비하는 LBV 라식수술을 시도하고 있다. LBV 라식수술은 한 눈은 근거리를, 다른 한 눈은 원거리를 잘 볼 수 있도록 진행하는 라식수술이다. 또한 노안을 최소한 몇 년 동안 늦추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40대는 노화로 인해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 눈 질환 발병률 역시 높아지게 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녹내장 환자 중 40대가 한 해 사이에 33%나 늘었고 백내장이나 황반변성 역시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져 40대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명동서울밝은안과는 정밀검진을 통해 40대의 유병률이 높은 눈 질환들을 사전에 파악해 그에 적절한 수술 결정과 맞춤 수술법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라식수술 후 안구건조증이 더욱 심해지는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자가혈청(PRP) 안약을 환자한테 제공하고 있다.
LBV 라식수술 과정은 간단하다. 우선 수술 결정 여부는 40대의 유병률이 높은 눈 질환을 포함해 40여 가지 정밀검사를 시행한 후 판단한다. 수술은 먼저 안약 형태의 마취약을 눈에 넣고 미세각막절삭기로 각막 절편을 만든다. 각막 절편을 옆으로 젖힌 후 LBV 프로파일의 특수 레이저로 한 눈은 근거리를, 다른 눈은 원거리를 잘 볼 수 있게 각막을 깎아낸 후 젖혀둔 각막 절편을 다시 덮으면 모든 수술이 끝난다.
명동서울밝은안과는 풍부한 수술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환자 개개인의 눈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한 후 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현재 남아 있는 시각 기능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별 맞춤 수술을 진행하고 있다.
명동서울밝은안과 김용은 원장은 “40대 라식수술의 경우 나쁜 시력과 노안을 동시에 개선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며 “수술비용에 너무 연연해하기보다 의사의 수술 경험이 풍부하고, 절차와 유의사항 등 수술과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까지 꼼꼼히 안내해주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조원익 기자 wick@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