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할 때 사타구니 통증, ‘정계정맥류’일 수 있다?

Muscular male athlete holding kettlebells in gym

운동하고 난 뒤에 사타구니 부근이 쑤시는 느낌을 받는다는 남성이 적지 않다. 남성 생식기인 고환 쪽에 지속 발생하는 통증은 부고환염, 전립선염 등의 비뇨기 질환의 가능성이 있다. 다만 우동 면발 같은 혈관이 겉으로 튀어나오면서 묵직한 통증을 동반한다면 혈관 질환인 ‘정계정맥류’일 가능성도 높다.

 

정계정맥류는 고환 상단의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돼 생기는 질환이다. 정맥이 크게 확장되면 음낭의 피부 아래로 구불구불 얽힌 혈관들이 보이며, 말랑말랑한 종물이 만져진다. 진단은 음낭 도플러 초음파로 가능하다.

 

김건우 민트병원 인터벤션센터 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은 “정계정맥류는 남성의 약 10~15%에서 발생하고 주로 왼쪽 고환에 더 많이 나타난다”라며 “성인 남성의 경우 불임 검사를 받다가 알게 되는 경우, 또 군 입대 전 신체검사에서도 자주 발견된다”고 말했다.

 

정계정맥류는 남성 난임, 남성 불임의 원인 1위로 꼽힌다. 1~2기 때는 지켜볼 수 있지만 3기 혹은 정자활동성이 낮은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남성 난임환자 중에서 정계정맥류 치료 후 정액지표의 개선을 보고한 연구 또한 최근 많이 발표되고 있다.

 

정계정맥류의 치료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수술과 색전술이다. 수술은 복부를 절개해 문제 혈관을 잘라내는 방법으로 전신마취가 필요하고 회복 기간도 길다. 색전술은 혈관 내로 가느다란 카테터를 진입시켜 고환정맥까지 들어가 경화제와 백금실로 혈관을 막는 방법이다. 

 

치료 원리는 고장난 문제 혈관을 폐쇄해 혈류를 차단하는 하지정맥류 비수술 치료와 비슷하고, 뇌 혈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시행하는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과도 방법이 같다. 색전술은 치료 과정과 회복이 빠르고 림프관을 건드리지 않아 결찰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음낭수종(고환에 물이 차는 증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비수술인 만큼 치료 다음날부터 대부분의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3주 뒤부터는 가벼운 운동도 가능하다. 김건우 원장은 “정맥류가 있다면 복압을 상승시키는 중량 운동, 스쿼트와 런지 같은 운동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며 “가벼운 걷기 운동이나 수영 등이 권장된다”고 조언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