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영이 형, 은퇴 전 메달따서 좋아요.”
37년 만에 한국 육상 남자 400m 계주 대표팀이 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자 계주 대표팀은 3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주경기장에서 열린 육상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38초74를 기록했다. 이정태(27)를 시작으로 김국영(32), 이재성(22), 고승환(26) 순으로 달렸다. 1위는 38초29를 기록한 중국, 2위는 38초44를 기록한 일본이 차지했다.
경기 후 고승환은 맏형 김국영부터 언급했다.
고승환은 “우리 국영이 형 은퇴하기 전에 아시안게임 메달 꼭 걸어드리고 싶었는데 목표를 달성해서 좋다”며 “4번 주자로 뛸 영광스런 기회를 줘서 감사하다. 예선에서 뛰어준 막내 원진이도 고맙다”고 말했다.
김국영은 2010년부터 4회 연속 아시안게임에 출전했다. 세계선수권 5회, 올림픽 1회 등 굵직한 국제 대회에 모두 출전했다.
그는 “16년째 국가대표로 뛰고 있다. 사실 나는 잘 뛰는 선수가 아닌 운이 좋은 선수, 노력하는 선수”라며 “국제대회에 자주 출전했지만 실패도 그만큼 많이 했다. 내가 한 실패를 우리 후배들이 겪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실패담을 자주 얘기했다”고 전했다.
김국영은 실패담과 함께 자신을 향한 믿음과 동료를 향한 신뢰도 강조했다.
김국영은 “자신을 의심하지 말고 동료를 의심하지도 말라. 일단 나부터 죽기 살기로 달려 배턴을 다음 주자에게 넘기고, 동료들의 레이스를 응원하면 분명히 전광판에 한국 신기록이 찍힌다. 그러면 메달을 얻게 될 것”이라고 후배들에게 말했다.
아시안게임 남자 400m 계주에서 한국이 메달을 딴 건 1986년 서울 대회 이후 37년 만이다. 당시 장재근 현 진천선수촌장을 비롯해 김종일, 심덕섭, 성낙균이 함께 달려 동메달을 거머쥐었다.
이후 한국은 일본, 중국 등에 밀려 메달권 후보로 분류되지 못했다. 최근 들어 김국영 등 좋은 기량을 가진 선수들이 등장했다. 덕분에 37년 만에 아시안게임 메달이란 값진 성과를 거뒀다.
결선 전부터 메달 가능성이 엿보였다. 대표팀은 전날 열린 대회 예선에서 고승환 대신 박원진(20)을 멤버로 해 이정태, 김국영, 이재성, 박원진 순으로 달리며 38초75의 기록으로 전체 2위에 올랐다. 남자 400m 계주팀은 올해 7월에 열린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에서 38년 만에 동메달을 따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었다. 이번 아시안게임 결선에서 한국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이번 기록은 2014년 오경수, 조규원, 김국영, 여호수아가 세운 한국 신기록(38초74)과 같다.
믿음으로 똘똘 뭉친 ‘원팀’ 400m 계주팀의 노력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빛을 발했다.

주형연 기자 jhy@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