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일반적으로 허리통증을 느끼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허리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은 매우 다양하다. 가령 허리통증과 다리통증, 저림 증상이 동반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이는 태어날 때부터 원래 척추관이 좁은 선천적인 경우와 외부의 충격이나 노화로 인해 퇴행성변화가 일어난 후천적인 경우로 나뉜다. 주로 40~50세 이후의 중장년층의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은 비슷한 듯 하지만, 특징적인 증상이 달라 구분할 수 있다.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지는 디스크와는 달리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허리를 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구부리면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악성 척추관협착증에서는 자세와 상관없이 신경통이 지속되기도 한다.

원유건 연세바로척병원 대표원장은 “허리를 펴거나 걸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다리가 뻣뻣해지며 극심한 통증이 생긴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며 “증상이 악화될 경우 허리뿐만 아니라 허벅지·다리·발바닥까지 저리고 다리 힘이 약해지며, 감각 이상이 생기면서 보행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척추관협착증이 의심된다면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기 전에 하루라도 빨리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게 현명하다”고 덧붙였다.
초기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같은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한다. 하지만 정도가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최근에는 내시경 신경근 성형술(원포탈)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초소형 카메라와 특수기구를 이용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나 뼈 구조물을 제거, 신경 압박의 원인을 치료하는 시술로 수술없이 신경통을 유발하는 디스크나 척추 협착 치료에 효과적이다.
원유건 대표원장은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내시경 신경근 성형술(원포탈) 시술은 광범위한 피부 절개가 필요했던 과거 수술에 비해 절개범위가 1cm 미만으로 병변 부위의 정상조직 손상이 덜 하고 합병증의 위험이 낮다”며 “시술 시간 또한 30~40분 정도로 다소 짧은 편이며 절개에 대한 부담이 적기 때문에 만성질환자, 고령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내시경 신경근 성형술(원포탈)은 기존의 풍선 신경성형술이나 신경차단술과는 다르게 신경을 누르는 뼈를 제거해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또 초소형 카메라를 통해 환부를 정밀하게 볼 수 있어 치료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조직의 손상이나 감염이 발생할 확률도 낮다.
원 대표원장은 “척추관협착증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평소에 올바른 생활습관과 자세를 갖는 것”이라며 “평소 허리를 곧게 펴는 자세를 유지하고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