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후 무릎이 ‘퍽’… 반월상연골 손상 의심

[정희원 기자] 반월상연골은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관절 연골에 관절액을 고르게 분산시켜 윤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무리한 신체활동을 하거나, 급격한 방향 전환이 많은 운동을 하게 되면 반월상연골에 무리가 가해지고 손상되기도 한다.  

 

반월상연골판은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 사이 관절에 자리한 연골판 구조물이다. 이는 안과 바깥쪽에 각 1개씩 위치하는데, 원래는 뼈가 서로 맞부딪히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과격한 운동으로 인해 하중이 갑자기 생기게 된다면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될 수 있다.  

 

김성태 미사 튼튼병원 관절외과 대표원장은 “반월상연골 손상은 외부에서 충격이 왔을 때보다 비접촉성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운동할 때 무릎 내부에 충격을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이 발생하면 극심한 무릎 통증이 나타나고 관절 내 물이 차는 느낌이 든다. 또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고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이 들거나, 무릎 안에 무언가 걸리는 듯하거나, 운동 이후 무릎이 힘없이 꺾이거나, 통증과 함께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 나기도 한다.  

 

이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근육통이나 가벼운 염좌가 아니라 반월상연골 손상을 의심해 봐야 한다. 윤활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로 방치하면 외부 충격이 뼈에 그대로 전달되어 퇴행성관절염을 앞당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반월상연골 파열로 의심되는 경우 MRI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초기라면 관절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존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콘쥬란주사를 들 수 있다. 이는 생체 재료인 연어에서 추출한 PN(폴리뉴클레오티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수술요법이다.  

 

점도와 탄성이 높은 PN 성분은 관절강 내로 주입할 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무릎관절의 마찰을 감소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손상 정도가 심각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판절제술, 반월상연골판봉합술 등을 통해 반월상연골판을 다듬거나 봉합을 거쳐 치료할 수 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