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치료 결심했다면? ‘RDI 수치’ 체크하세요

[정희원 기자]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위한 첫 단계는 단연 ‘양질의 수면’이다. 하지만 제대로 푹 잠들지 못해 고생하는 사람이 적잖다.

 

건강한 수면을 망치는 요소 중 하나가 ‘수면무호흡증’이다. 말 그대로 잠들었을 때 좁은 기도에 공기가 통과하면서 호흡이 일시적으로 멎거나 불규칙한 것을 말한다. 1시간에 10초 이상의 무호흡이 5번 이상 반복되거나, 7시간에 30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포함한다. 수면무호흡증은 국내 성인 6명 중 1명이 앓을 만큼 흔하다. 여성보다 남성 환자가 많고,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높아진다. 이종우 숨수면클리닉 원장의 도움말로 수면무호흡증 관리법 및 치료법을 알아본다.

 

수면무호흡증을 겪는 사람들은 아무리 오래 잠들어도 다음날 개운치 못하고 몸이 찌뿌둥한 것처럼 느낀다. 자는 동안 숨을 쉬지 못해 산소 포화도가 떨어져 숙면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반복되면 주간졸림증, 만성피로, 기억력·판단력 저하, 두통 등이 유발된다. 업무능률이 떨어지고 불안, 우울, 혈압 상승 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흔히 심한 코골이가 수면무호흡증의 ‘신호탄’으로 여겨진다.

 

이 원장은 “더 큰 문제는 수면 중 반복적인 호흡 단절에 의한 체내 산소 고갈 현상”이라며 심할 경우 체내 산소 부족에 따른 당뇨, 치매, 심뇌혈관 질환 등 치명적인 합병증까지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다보니 최근엔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을 단순 잠버릇으로 보지 않고 수면장애로 인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질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다. 수면무호흡증은 양압기 치료, 기도확장수술 등을 통해 개선하는데, 개인의 증상 정도가 각각 다른 만큼 정확한 진단이 우선돼야 한다.

 

이를 위해 치료에 앞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자는 동안 신체 상태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는 원리를 쓴다. 내원 후 간단한 설문을 작성한 뒤 센서를 부착한 뒤 수면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뤄진다. 환자에게 뇌파검사, 수면구조검사, 수면호흡검사, 근전도 및 수면 움직임을 파악하는 20여개 센서를 부착해 환자가 잠든 사이 수면 상태 및 수면무호흡 원인을 정밀 분석한다. 비수술 치료 방법인 양압기 착용을 택했다면 양압적정검사를 추가로 시행한다.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호흡장애지수인 ‘RDI’(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수치의 정상화다. RDI는 시간 당 무호흡과 저호흡 수치를 합친 숫자로 일반적으로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의 심각한 정도를 의미한다. RDI 수치가 5~15면 경증, 15~30이면 중등도, 30 이상이면 중증 수면무호흡증으로 정의한다.

 

치료 전후 RDI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게 관건이다. 치료를 통해 확장된 기도 크기를 ㎜ 단위로 정확하게 비교하는 것도 필수다. 이들 수치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객관적 판단을 돕는 중요한 지표다.

 

이종우 원장은 “개인마다 수면무호흡증 원인 및 수면 중 심리 상태, 신체적 변화가 다른 만큼 미리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을 면밀히 파악한 뒤 치료에 나서야 한다”며 “특히 RDI 정상화 여부는 수면무호흡증 재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